은행권이 수수료를 너무 인상하고 있어 서민경제가 더욱 불안하다. 지난 달 신한·조흥은행이 각종 수수료를 올린 데 이어 하나·제일은행이 6월1일부터 수수료를 대폭 인상하거나 새로 부과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금융권의 인상 움직임은 경영여건 악화에 따른 부담을 고객에게 전가하는 것은 물론 물가 급등세를 부추긴다는 점에서 신중을 기해야 된다.
제일은행의 경우 타행 현금인출기로 현금을 뺄 때 수수료를 현재 800원에서 1천원으로, 영업시간 종료후에는 1천원에서 1천200원으로 올리고, 타행 계좌이체 수수로도 상향 조정한다고 한다. 더구나 그동안 받지 않았던 질권설정·명의변경·전표열람(이상 5천원)·사고신고(1천원) 수수료를 새로 부과키로했다.
국민은행은 은행업무 전반에 대한 원가분석 작업을 거쳐 수수료 신설이나 인상수준을 정해 하반기부터 수수료 인상에 나선다. 특히 지금까지 수수료를 물리지 않았던 지로·공과금 수납을 하반기부터 유료화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이 계획 역시 중소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등에 따른 부담을 수수료 수입으로 해결하려는 것으로 적절치 못하다. 공공 서비스 요금 인상과 맞물려 인플레이션 심리를 자극하는 요인이 되므로 그 여파가 심히 우려된다.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불과 7개월만에 또 다시 올리기로 한 것도 문제가 심각하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LG화재, 동부화재, 동양화재 등 5개사는 범위요율을 상향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동차보험료를 1.5~3%가량 인상, 6월부터 적용키로 했다. 범위요율은 금융감독당국의 인가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하지만 지난해 11월 업계가 평균 3.5% 올린데 이어 7개월만에 다시 전 손보사가 보험료를 인상하는 것은 국민경제차원에서 무리가 아닐 수 없다.
지금은 외환위기 때보다 더 심한 장기불황 중이다. 원자재 가격급등 여파로 자장면과 휘발유 등 생활필수품 가격마저 잇따라 오르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더욱 휘청거리는 판국이다. 물가안정이 과거 어느 떄보다 절실하다. 금융기관들이 수익률을 만회하기 위해 앞다퉈 수수료를 인상하는 영업전략을 구사, 서민들 몫으로 전가시키고 있는 것은 부적절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