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복여중·고 학생들의 나라꽃 사랑

엊그제 수원 영복여중·고등학생들이 교사와 함께 수원시 관내 주요 기관들을 일제히 방문했다. 해마다 어버이날이면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정경이다. 영복여중·고생들은 어제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기관·단체 임직원들에게 무궁화를 가슴에 달아주며 어버이 은혜를 기렸다.

영복여중·고생들이 어버이 날에 기관·단체를 방문하여 무궁화를 달아준 것은 1973년부터 였다. 영복여자중·고등학교 초대교장 故 리화순 선생의 제안에 의해 국민정신 교육의 일환으로 나라꽃 사랑하기 및 무궁화 달기 캠페인을 시작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외국의 문물이 들어오면서 우리 민족과는 아무 연관성도 찾을 수 없는 카네이션 꽃을 어버이 날에 다는 풍습을 고쳐 나라꽃인 무궁화를 어버이 날에 달도록 하여 민족주체성을 확립하는 한편 나라꽃을 소중히 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하고자 영복여자중·고교에서 처음으로 시행한 이 운동은 호응을 받았다.

영복여중·고 학생들은 5월8일 어버이 날에 즈음하여 학교자치활동시간에, 그리고 어머니들은 백목련어머니회 때 직접 무궁화를 제작하여 가정과 연계, 지도하고 나아가 범국민적인 운동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함께 수원시내 주요 관공서나 언론사 및 교육기관을 방문, 홍보하거나 가두 캠페인을 벌이기도 하였다.

무궁화가 국화(國花)로 사랑받고 존귀하게 생각해야 함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무궁화는 여름과 가을에 걸쳐 3~4개월을 연속해 핀다고 하여 고결함과 위인적 자용(偉人的 姿容)이 찬미되었다. 서기전 8~3세기 춘추전국시대에 저술된 지리서 ‘산해경(山海經)’에도 “군자의 나라에 훈화초가 있다(君子之國有薰花草)”고 기록돼 있다. 군자국은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것이며 훈화초는 무궁화의 옛 이름이다. 무궁화는 이처럼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국화로 강인한 민족성과 화려강산의 상징이었다.

수원영복여중·고 학생들이 ‘나라꽃 달기 캠페인’을 어버이 날 전후에 전개하는 것도 효사상의 함양과 어우러져 그 뜻이 매우 깊다. 나라꽃 사랑하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영복여중·고학생들의 정성이 크게 기여했다고 믿는다. 거듭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