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남·북으로 분도가 되면 한수 이북의 지역 주민들에게 과연 무슨 실익이 돌아가는가, 분도가 된다해서 일반 주민의 생활이 더 나아진다는 보장은 없다. 정치인은 나중에 ‘경기북도’ 도지사를 꿈꾸고 지역 유지는 도단위 기관장이나 단체장 등의 꿈에 부풀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일반 주민들은 지방세 부담만 가중된다.
분도가 되어 예컨대 접경지역 문제가 해소되고, 수도권규제가 풀리고, 팔당호 상수원보호 규제 등이 해결되어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주민의 복지가 증진된다면 기꺼이 동의하겠다. 그러나 이같은 여러 문제는 시대적·지역적 특수성의 제약이다. 분도를 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은 아니다. 물론 시대적·지역적 특수성의 불이익은 어떻게든 극복해야 할 지극히 당연한 현안이긴 하다. 하지만 충청북도보다 못한 열악한 ‘경기북도’를 만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오히려 웅도의 경기도 도세로 이를 추진하는 게 탄력성이 더 강하다. 도는 해마다 지방세입의 막대한 부분을 북부지역에 투입하고 있다. 같은 지역사회의 입장에서 북부지역 주민들을 위한 이러한 지원이 마땅하다는 생각은 앞으로도 변함이 있을 수 없다.
한강이 가운데 낀 지형적 조건을 분도의 이유로 삼는 것은 실로 황당하다. 정보통신이 극도로 발달된 이 시대에서 도대체 분도가 안 되어 불편이 많다는 주장은 구차한 강변에 불과하다. 걱정스런 것은 분도의 포퓰리즘이다. 어떻게 보면 분도론은 북부지역 주민들에게 매력적 환상일 수 있고, 더욱이 이 정권의 실세가 분도에 앞장서며 부추기는 포퓰리즘은 한층 더 감성을 끌수 있을 지 모르겠다. 그러나 정권은 유한하며 권력은 영원하지 않다. 영원하지 않고 유한한 권력의 분도 게임이 천년 넘는 경기도의 단일 정서를 우선할 수는 결코 없다.
‘범경기분도추진창립위원회’를 탓하기 보다는 바로 이런 동질적 단일 정서를 간곡히 호소하고자 한다. 과연 누구를 위하여 그토록 분도를 서두르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싶다. 생각하면 경기도는 상처 투성이다. 개성시와 개풍군이 북녘 땅이 되고 장단군은 비무장지대에 묻힌 채 반세기가 지났다. 이에 굳게 단합해야 할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을 남북으로 또 갈라놓고자 하는 공연한 분도론을 배격한다. 더 멀리보는 깊은 안목의 성찰이 있기를 간곡히 촉구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