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참패 ‘노래방 만찬’ 감회 식기도 전에

여당의 완패다. 6·5 재·보선은 열린우리당에 치명타를 안겨 주었다. 부산시장, 경남도지사, 전남도지사, 제주도지사 선거에서 여당은 단 한자리도 건지지 못했다. 전남도지사는 민주당에게 내주면서 나머지 3개 광역단체장은 한나라당에 바치는 등 야당 완승을 장식케 했다. 광역단체장만 이런 게 아니다. 모두 19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도내 부천·평택시장을 비롯, 무려 13개 기초단체장을 한나라당이 휩쓸었다. 열린우리당은 민주당 1곳, 무소속 2곳과 함께 겨우 3곳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당선자들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노래방 만찬’의 감회가 미처 식기도 전에 치명타를 당한 이같은 민심 표명은 오만에 대한 응징이다. 이런 가운데 여당이 특히 사력을 다했던 경남도지사 선거가 패배로 끝난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김혁규 총리 카드가 크게 불리하게 작용된 것 같다.

이번 6·5 재·보선은 평균 투표율이 28.4%로 저조한 것은 사실이다. 또 어디까지나 국지적인 재·보선이다. 비록 이렇긴 하나 열린우리당 후보의 패배가 거의 게임이 안될만큼 떨어져도 표차이가 크게 떨어진 것은 민심이반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아니다. 재·보선은 또 있을 전망이다. 지금 많은 여·야 국회의원들이 선거법 위반혐의로 속속 기소되고 있다. 이렇게 가다가는 앞으로 있을 국회의원 재·보선을 통해 여대야소 구도가 깨질 공산도 없지 않다.

여당의 6·5 재·보선 완패에 청와대는 공천권이 없는 대통령에겐 책임이 없느니, 열린우리당에서는 지도부 인책론을 제기하느니 하지만 다 부질없다. 여당 지도부가 누구였든 간에, 또 대통령의 공천권 유무가 어떻든 간에 결과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객관적 정황 판단이다. 청와대와 여당은 선거 참패의 원인이 어디에 있었는 가를 냉정히 성찰할 필요가 있다. 당·청 분리를 말하지만 대통령의 잘못은 열린우리당에 불리하게 돌아가고, 열린우리당의 잘못은 대통령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국민이 보는 부동의 당·청 관계다.

한나라당에도 할 말은 있다. 6·5 재·보선의 완승은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국민적 응징의 반사 이익이 지 한나라당이 결코 잘해서 손을 들어 준 것은 아니다. 한나라당이 소성에 자만하지 않는 미래를 내다보고자 한다면 정책정당 면모로 시급히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