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도 헤엄쳐 건널 겁니다”
“손이 없어도 운전을 할 수 있듯이 항상 도전하는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경장복지신문과 장애인 신문 경기·인천지사사장 오재호씨(51). 오씨는 우리나라의 양손 없는 장애인의 운전 면허 취득을 가능하도록 이뤄낸 장본인이자 본인이 첫 수혜자이다. 그리고 한 신문사의 사장인 지금 뒤늦게 정상인도 쉽게 할수 없는 도전인 ‘수영으로 한강을 건너기’를 위한 새로운 도전으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오씨의 주위 사람들이 괜한 고생을 한다며 만류하는 것을 뿌리치고 스스로 고생길을 찾아서 아직도 편견에 좌절하고 있는 장애우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기위해 수영장을 찾고 있다.
대부분의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오씨의 불행은 순간적이었다.
지난 1971년도 건축 공사 현장에서 철근 조립공으로 일하던 오씨는 2만2천볼트 전기고압선에 감전 됐다.
10일만에 의식이 돌아왔을때는 이미 양손의 손가락이 없는 상태였고 이후 6개월간 7번의 수술을 거치면서 양팔 모두를 잃었다.
스스로 좌절감을 견디지 못한 오씨는 입원비까지 밀린 자신을 원망하며 한장의 유서를 남기고 병원 3층 옥상에서 뛰어내렸다.
그러나 오씨는 자살마저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찾기 시작했다.
장애를 당한지 2년여만에 가족들로부터 받은 단돈 10만원으로 구멍가게를 시작했다.
차도 없던 시절, 가게에 물건을 들여오기 위해 무거운 짐을 머리에 걸고는 단 한번도 쉬지 않고 10㎞를 매일 같이 오가면서 등이 까지고 다리가 부었지만 이를 악물고 참아내며 열심히 생활했다
오씨가 17여년간 혼자서 장사를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것은 물건을 운반하는 일로 차량이 있어야 한다는 것.
“93년도에 운전면허시험을 보겠다고 책을 사서 준비하는데 알고 보니 ‘양팔 상박이 없는 사람은 결격사유로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고 나와있었다”는 오씨는 “자동차 제조회사들을 찾아가 양팔 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을 만들어달라고 부탁하며, 일본의 자동차 설계도까지 구했지만 요청을 들어주는 회사가 없었다”고 당시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이같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오씨는 아예 도로교통법 개정운동에 나섰다.
주위사람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벌인 도로교통법 개정운동 덕택에 지난 99년 법이 통과돼 양팔 없는 사람도 운전면허증을 딸 수 있는 법적장치가 마련됐다.
또 오씨는 자신이 직접 운전면허증 취득에 도전해 지난 2000년 양팔 절단 장애1급자로서는 국내 최초로 면허증을 손에 쥐었다.
이후 장애인을 위한 곰두리 차량봉사대 활동을 벌이며 장애인운전대회인 자동차짐카나대회에 출전해 의수로 능숙하게 운전하는 모습을 보여줘 특별상과 인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의수를 이용해 운전은 물론 컴퓨터를 능숙하게 처리하는 등 일상생활에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가 된 오씨는 이제 수영으로 한강을 건너겠다는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수영을 시작했지만 초기 한달동안은 물에 뜨는 것조차 어려웠지만 이제는 각종 장애인수영대회에서 단골 1위를 하고있다.
앞으로 체력을 보강해 내년에는 두손 없는 장애인으로서 최초로 한강을 건널 꿈에 부풀어 있다.
이처럼 역경의 길을 걸어온 오씨지만 개인적으로 지난 96년 11월부터 장애인신문 경기·인천지사를 개소해 수원 등 5개권역 2만5천명의 1급 장애인에게 장애인 신문을 보급하는 등 장애인을 위한 봉사활동에 남다른 열정도 받치고 있다.
또 1급 장애 리포터 2명, 교통사고로 다리가 불편한 사진기자 1명과 함께 자신이 직접 경장복지신문을 만들고 지난 98년 8월 한국 신체장애인복지회 군포시지부장을 맡아 월1회 이·미용봉사와 장애인들의 주차요금을 면제하도록 군포시조례 개정운동을 벌여 통과시키기도 했다.
또 장애인 스포츠단을 창단, 하지절단 장애인 좌식배구를 활성화시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해 지난 4월 제 44회 장애인의 날에는 ‘경기도장애극복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초등학교 졸업학력이 전부인 지제1급 장애인 오씨.
오씨의 삶은 그 자체가 도전이자 ‘의존에서 자활, 자활에서 봉사’로 이어지고 있다.
오씨는 “도전이 결정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인생도 그만큼 줄어든다”며 “결국 타인에게 의지하느냐 아니면 남을 돕고 살아가느냐는 자신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최용진기자 comnet71@kgib.co.kr
/사진=원지영기자 jywo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