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역 활성화에 노력하라

광명시 일직동 8만여평 부지에 있는 광명역은 국내 최대 규모다. 건립비에 무려 4천68억원이 들어갔다. 최대 수용인원이 14만7천명에 이른다. 그러나 현재 하루 평균 이용객은 평일 4천500여명, 주말 7천200여명에 지나지 않는다. 개통 전 예상 이용인원 2만4천명의 19%(평일기준)수준이다. ‘개점휴업’상태다. 당초 광명역은 서울 서남부(금천구·구로등)와 경기·인천지역 주민 등 1천300만명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서울역과 용산역 출발 고속열차(KTX) 82편(평일 기준)중 30%인 24편이 출발하는 ‘시발역’으로 활용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 광명역에서 출발하는 KTX는 하나도 없다. 하루 상·하행선 50편만이 정차하는 ‘간이역’으로 전락했다. 더구나 서울 서남부 지역과 인천지역의 대중교통이 광명역과 제대로 연계돼 있지 않은 데다 경부선·호남선 모두 1시간에 1대꼴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철도청은 연계교통망이 미비해 광명역을 시발역으로 활용하기 힘들고 서울역이나 용산역처럼 지하철이나 국철로 연결돼 있지 않아 운영상 어렵다는 입장만 여전히 되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예측하지 못하고 4천68억원의 공사비를 쏟아 부었다니 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또 다른 문제는 수지타산을 고려한 운수업체의 노선 기피와 지역 운수업체의 이익만 고려하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이기적인 행태다. 일례로 경기도에서 인천으로 들어가는 버스 노선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주안역~광명역 노선을 신설하려 했으나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무산됐다. 인천시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경기도는 “관내 운수업체가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노선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다른 지자체의 노선을 수용할 수도 없는 입장”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지자체 간 협의와 양보가 전혀 없는 것이다.

물론 지자체가 자기 지역 운수업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것을 그르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대다수 시민을 위한 교통편의 차원에서 대승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광명역과 관련해 지자체간 이견을 보이고 있는 5개 노선을 건설교통부가 내달 중 강제조정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 강제를 자초한 셈이다. 건교부의 조정으로 광명역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