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시설을 기피하는 지역 이기주의와 땅값 상승으로 신규 쓰레기매립장과 소각장 건설이 갈수록 어렵다. 현재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사용중인 238개 매립시설의 운영 현황을 보면 이들 매립장의 총 매립용량 3억6천200만㎥ 중 1억5천만㎥밖에 남지 않았다. 지역별 쓰레기 배출량을 감안하면 현재 사용 중인 전국 쓰레기 매립시설이 평균 14년 뒤면 모두 채워져 더 이상 쓰레기를 묻을 곳이 없어지게 된다.
더구나 여의도 면적 4배 크기(628만평)로 국내에서 가장 넓은 수도권매립지도 이미 3분의 1이 채워졌고, 2022년 말에는 포화상태에 이른다. 여기에다 수도권 지역의 소각장 추가 건설이 어려워져 쓰레기 매립 문제는 실로 심각하다. 사정이 이런 데도 지역주민의 민원과 부지난 등으로 지난해 새로 개설된 매립장이 6곳에 불과하다. 특히 쓰레기 발생량이 2001년 25만2천900t에서 2002년에는 26만9천500t으로 6.6%로 늘었고, 건설폐기물 반입량이 매년 10% 이상씩 급증해 지난 해 전체 매립 쓰레기의 44.6%나 돼 매립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근 쓰레기로 가장 고통을 받고 있는 곳이 포천시의 경우다. 지금 포천시는 서울·경기지역 쓰레기를 매립하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포천시의 쓰레기 반입을 지난 1일부터 중단해 임시적환장에 생활쓰레기 수백t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여기에 침출수까지 흘러 내려 악취가 진동한다. 그야말로 쓰레기와의 전쟁 중이다. 시민들은 쓰레기 소각장 건립을 반대하는 대가(?)를 혹독히 치르고 있는 셈이다.
포천시는 2007년까지 하루 80t 처리 규모의 소각시설 건립을 조건으로 자체 매립지 없이 1995년부터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해 왔다. 그러나 지난 3월로 약속했던 쓰레기 소각장 부지 선정을 부지 인근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미루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쓰레기 반입을 금지시킨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포천시 쓰레기 반입을 중단한 조치는 대다수 시민들의 고통을 감안할 때 적절치 못하다. 포천시와 다시 협의를 해 쓰레기 반입을 재개토록 하기 바란다. 포천 지역을 사례로 이제는 각 지역 주민들도 쓰레기 매립장 및 소각장 건립에 대승적 차원으로 협조해야 할 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