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도지사 취임 2주년을 평가한다

손학규 경기도지사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통해 민생경제를 최우선으로 거듭 강조한 것은 적절하다. 도정의 출발이 민생경제에서 시작되고 민생경제로 귀납돼야 한다.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기업하기 좋은 여건조성으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 또한 민생경제 챙기기의 일환이다. 내국인 투자만이 아니다. 이미 일본과 미주를 방문, 해외투자 유치에 큰 성과를 거둔에 이어 내주엔 프랑스와 독일을 찾아 11개 기업을 대상으로 4억달러 상당의 투자협약 체결을 위한 유럽 원정에 나선다.

이 정부의 심화한 수도권 규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주로 첨단부품업체, LCD 관련업체, IT업체 등의 해외투자를 유치하는 것은 강력한 지식기반산업의 지역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의지로 해석된다. 이른바 지방균형발전을 내세운 정부의 수도권 기업 핍박이 어떻든 간에 나라를 대표할만한 지식기반산업기지로 여전히 국민경제의 심장부 역할을 다 하고자 하는 것은 1천만도민의 지역사회 여망과 합치된다. 아울러 파주~개성 지역을 경제협력 및 문화교류의 평화벨트로 조성하고자 하는 건 당장은 접경지역으로서 남북평화 그리고 장차는 통일에 대비하는 한반도 중핵의 웅도다운 포석으로 평가된다.

신행정수도 이전과 경기도 분도는 이 정권이 조장하는 공연한 분열 행위다. 정부조차 몇십조원이 들지 가늠하지 못하는 정치적 천도는 국민경제로는 해악이며 지리적으로는 실로 무위하다. 또 북부지역 주민들에게 이득은 커녕 되레 세부담만 가중시키는 분도설은 실세가 앞장서 부추기고 있으나 영원한 정권은 없다. 행정수도 이전 반대와 분도설의 허구성 타파에 더욱 강력한 탄력이 있기를 기대한다.

손학규 도지사는 한나라당이지만 정치인이기 보다는 행정인으로 보아 왔다. 따라서 중앙정부에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잘 못된 것은 끝까지 시정을 요구하는 것은 지방정부 수장의 당연한 책무다. 그의 차기 대권 행보는 도정에 지장이 없는한 정치적 자유다. 역대 대통령의 영호남 편중에 비추어 이젠 중부권 출신의 대통령이 나오는 게 국가사회 통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 판단이 있다.

앞으로 남은 도지사 재임 기간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 역시 대권을 향한 검증이랄 수 있다. 미군 재배치에 따른 과제가 산적해 있다. 당장은 교육·교통·환경문제 등에 도민의 어려움이 많다. 지난해에 밝힌 10대 정책분야 51개 역점사업이 큰 차질없이 이행될 것으로 믿어 분발을 촉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