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교통정책이 실로 무계획·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이달부터 새로 도입·운영 중인 대중교통체계가 혼란을 빚자 보완책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 발행과 강남대로 운행 버스조정 등도 서울중심적이기는 매 한가지다. 서울시의 이같은 ‘땜질식 처방’은 당초 버스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또 다시 지하철 중심으로 뒤엎은 졸속행정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서울시가 도내버스의 서울운행 중 중앙차로 이용 자제를 요구한 것은 심히 부당하다. 서울시민 편의만 생각하고 경기도민은 무시하는 처사여서 민원이 날로 증폭되고 있다. 그러잖아도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대중교통체계를 변경, 도민들의 서울행 교통요금이 크게 오르고 각종 교통불편사항이 속출하여 불만이 팽배한 마당에 경기도버스에 가로변차로 이용을 요구한 것은 오만이 아닐 수 없다.
서울시가 지난 3일 경기도와 수원시, 용인시 등에 보낸 공문은 “경기도민이 서울의 희생양이냐”는 항의를 받아 마땅하다. 중앙버스 전용차로 용량이 초과, 교통혼잡으로 인한 시민불편과 안전사고 위험이 크므로 도내버스는 가로변차로를 이용하라고 주문한 것은 서울시 편의 행정이다.
현재 강남대로를 운행하는 도내 18개 노선 199대 가운데 15개 노선 148대 버스에 대해 중앙차로가 아닌 가로변차로 만을 이용하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다. 서울시는 또 강남대로 중앙버스 전용차로를 이용토록 돼 있는 경남·용남여객과 대원고속 등 3개 광역버스업체에도 중앙버스 전용차로 진입 자제를 요청했다. 이로 인해 해당 버스들이 강남대로에서 전부터 이용해 온 중앙버스 전용차로 대신 가로변차로를 이용하는 바람에 이같은 사실을 모르는 승객들이 수십분씩 중앙버스 전용차로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등 곤란을 겪고 있다. 특히 중앙버스 전용차로가 설치된 강남역과 양재역은 수원과 분당, 용인 수지, 안산 등 경기남부지역을 오가는 경기도와 서울시 광역버스 대부분의 반환점이거나 통과지점이어서 교통 혼잡이 더욱 심하다.
도 당국은 서울시의 무계획적인 대중교통체계 변경과 도내 버스의 중앙버스 전용차로 이용 불가에 집단 행동도 불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이용자들의 고충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서울시와의 협의가 여의치 못하다면 건설교통부와 재정경제부 등에 적극적으로 중재를 요청하는 등 대책을 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