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문제를 별도로 특수화하는 그 자체가 성 차별이라는 역설이 있다. 이에 일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남성 우위의 오랜 관행으로 일상적 관점에선 바람직한 여권 동등이 어렵다고 보아 여성문제의 전문화엔 타당성이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경기도가 도 기구로 여성정책국을 두고 있으면서 따로 도 산하의 공공기구로 경기여성개발원 설립을 추진하는 일에 이 점에서 인정은 한다.
그러나 당부해 둘 게 있다. 우선 도 여성정책국과 경기여성개발원의 기능이 중복되는 것은 예산과 인력의 낭비다. 여성개발원은 연구기관이고 여성정책국은 집행 기관으로 얼핏 볼 수 있겠지만 이런 것 만은 아니다. 지금까지 어떠했는진 몰라도 여성정책은 여성정책국에서도 개발돼야 한다. 아울러 여성개발원의 개발 사항은 또한 도의 여성정책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이같은 상호 보완의 기능을 위해 여성정책국과 경기여성개발원의 업무 한계와 협의 관계를 미리 설정해 두지 않으면 두 기구가 모두 유명무실할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경기여성개발원이 대체 뭘 할 것인가도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 여성의 정치·경제·사회 참여 확대가 자칫 엘리트 위주로 흘러서는 개인 영달을 위한 귀족여성의 출세수단으로 전락, 본연의 여성권익 증진과는 거리가 아주 멀어진다. 도민의 세부담으로 운영될 경기여성개발원이 특수층 여성만을 위한 것이 되어서는 차라리 두지않는 편이 더 낫다.
일상의 가정 및 사회생활에서 여성의 능력과 역할 등 그 기능적 가치성이 거듭 발굴되고 확인되는 미래 지향의 좌표를 제시할 수 있는 여성대중 전반의 경기여성개발원이 되어야 참다운 존립의 의미가 있다. 따라서 여성의 정치·경제·사회 참여 확대는 특수층이 아닌 보편적 여성을 대상으로, 출세형이 아닌 생활형을 지표로 하여 그 가치성을 창출하여야 한다. 여성의 전문성을 살리는 여성정책의 장·단기 발전계획 개발은 바로 이런 바탕에서 출발해야 지역사회의 모든 여성들로부터 정말로 사랑을 받는다. 경기도가 이를 위해서는 경기여성개발원의 인적 구성에 정치적 배려를 배제하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된다. 경험 많은 실무 전문가와 조예 깊은 학자들로 구성하는 것이 성공의 요체다.
내년 3월에 문을 열 예정인 경기여성개발원을 두고 미리 이같은 당부를 하는 덴 이유가 있다. 추진 과정에서 마련 될 정관에서부터 앞서 지적한 문제점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밝혀 두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