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아차산 등 도내 60개소의 고구려 유적에 대한 보존 및 활용대책에 나선 것은 적절하다.
양주·연천·구리·파주·의정부 등에 산재한 고구려 유적을 체계적 관리와 역사적 고찰 등을 통해 ‘역사정보마당’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오는 2008년까지 구리시에 ‘고구려박물관’을 건립하는 등 중앙정부의 관심이 촉구되는 문제 제기의 지속적 사업이 추진된다.
도내의 고구려 유적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것은 유적이 비교적 미약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고구려 땅으로 속했던 기간이 길지않은 데도 연유가 있다. 그러나 유적은 많다. 한강 쟁탈이 삼국의 주도권 다툼에 요지가 됐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남진정책은 광개토대왕의 북방정책 이후, 5세기 후반 장수왕시대 들어 두드러졌다.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보는 역사 왜곡은 결국 중국 땅이 경기도까지 뻗친 것이라는 게 전제가 돼야 하지만 이는 성립될 수 없는 허구다. 동일 민족의 삼국 중 고구려만이 중국의 주권에 속했다는 것은 인류문화사로 보아도 심히 당치 않다.
돌아보면 우리의 역사는 너무 많은 외부 왜곡의 상처를 입고 있다. 조선조 사색 당쟁은 오늘날의 정당정치다. 이를 하릴없는 당파 싸움으로 비하한 것은 일제 침략기 조선 역사와 만주 역사를 왜곡하기 위해 만든 ‘만선(滿鮮)연구소’가 지어낸 식민지사관이다.
이젠 중국이 사회과학원을 앞세운 이른바 동북공정으로 고구려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중국은 일찍이 한반도와의 국경선으로 백두산까지 절반이나 북으로부터 가져갔다. 장차 한반도가 통일되면 또 어떤 영토 분쟁이 일어날지 모른다. 고구려사 왜곡은 이런 저의가 깔려 있는 것이다.
경기도의 고구려 유적 사업은 중앙정부와 학계의 중국에 대한 역사왜곡 시정 촉구와 병행하는 실로 깊은 의미를 갖는다. 이러므로 단순히 유적지 정비에 그쳐서는 안된다. 도내 고구려 유적을 상호 연계하는 역사문화의 이론을 개발하여 정립해야 한다.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관한 한국사 연구라고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적 탐사의 정밀지표조사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제는 예산이다. 정확한 계획수립에 따른 소요 예산을 도는 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도내 대학과 경기문화재단 경기박물관 기전문화재연구원 등을 조직화한 책임있는 연구체제 구축도 신중히 검토하여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