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태권도공원 건립 사업을 재개했다. 2000년 유치신청을 낸 전국 24개 지방자치단체의 경쟁이 너무 심해 정부의 선정작업 자체가 유보된 지 4년만이다.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에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태권도 공원은 또 다시 뜨거운 유치경쟁에 돌입했다.
연내 후보지를 결정, 공공자금과 민자 1천644억원을 들여 2013년까지 명예의 전당·종합수련원 등 기본시설과 함께 세계문화촌, 숙박촌 등 각종 관광 편의시설을 갖추는 태권도 공원을 건설한다는 것이다. 유치 신청을 낸 지자체는 2000년에 경합했던 파주·남양주·하남·포천·양주시, 여주·양평군과 강화군 등 전국에 걸쳐 모두 21곳에 이른다.
현재 각 지자체들은 태권도 관계자 34만여명과 일반 관광객 등 연간 150만여명이 몰려들 태권도공원이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양한 유치 전략을 마련해 놓고 있다. 예컨대 경북 경주시와 충북 진천군, 전북 무주군은 세계적인 역사 관광명소, 화랑의 대표 인물인 김유신 탄생지, 호국무사들의 연마지 임을 각각 내세우고 있다. 지역 고용 증대는 물론 각종 부대 이익이 엄청날 것으로 전망되는 태권도 공원 유치에 지자체가 공을 들이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문제점도 적지 않다.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2000년의 경우 유치전에 각 지자체들이 적어도 10억원의 예산을 소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홍보비 집행액만도 1개 도시당 평균 4천200만원에 이르렀다. 행정력 소모비용까지 더 하면 이보다 훨씬 많다. 따라서 경기도와 인천시는 이번엔 과다 경쟁을 피하고 단일 후보지를 내세우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경인지역 중 어느 지자체가 선정돼도 타시·도의 어느 곳보다 더 입지적인 여건이 적합한 까닭이다. 국립 태권도공원이 통일 한국을 대비해 국토 중심부인 경인지역에 조성된다면 금상첨화가 따로 없다.
태권도 공원 유치를 신청한 경기도와 인천시, 그리고 해당 시·군의 대승적 결단을 촉구한다. 인천시와 협의가 안되면 경기도만이라도 단일화 신청을 검토해 보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