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동전(銅錢)은 6종(1원, 5원, 10원, 50원, 100원, 500원)이 있다. 이 중 1원과 5원 짜리는 일반적으로 상거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1992년 이후 사실상 발행이 중단된 상태다. 10원짜리는 매년 많은 양이 발행되고 있으나 국민이 10원짜리를 별로 쓰고 있지 않아 실질적 유통 수명이 매우 짧다.
100원짜리와 500원짜리는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어 최근 동전 종류별 환수율(발행 잔량 대비 한국은행으로 환수된 양)이 500원짜리가 3.3%로 10원짜리보다 8배 이상 높다.
현재 한국은행이 발행한 1원짜리 5억6천만개와 5원짜리 2억2천만개는 유통이 거의 안되기 때문에 모두 ‘사라진 돈’으로 보고 있다. 등산 갔다가 잃어 버렸거나 화폐수집상이 소장하고 있는 희귀동전, 외국인이 기념으로 가져간 동전들도 실생활에서 돈의 역할을 못하는 ‘사라진 돈’이다. 액면이 작고 돈의 크기가 작을 수록 사라지는 비율이 높다. 우리 나라 동전 중 약 5억~6억개 정도가 해마다 사라진다는 분석 결과가 있다.
동전이 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돈이 제 가치를 유지하지 못해 쓸모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1970년대만 해도 1원짜리나 5원짜리를 분실하면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지금은 10원짜리를 길에서 발견해도 주우려고 하지 않는다. 또 10원짜리를 모아서 물건을 사려고 해도 살만한 물건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상거래 과정에서 사라지는 실정이다.
한 해 동안 동전을 새로 찍는 데 수백억원의 자원이 낭비된다. 동전을 집안에 모아 두지 말고 가급적 물건을 사는 데 바로 이용해야 한다. 장롱 밑이나 돼지저금통, 서랍속에서 잠자고 있는 동전도 써야 한다. 그러나 어린이들이 돼지저금통을 들고 저금하러 은행에 왔다가 은행원이 동전을 푸대접하는 바람에 그냥 돌아가는 모습을 여러번 봤다. 만일 화폐단위가 변경돼 1천원이 1원으로 낮춰지면 500원 이하 100원, 50원, 10원, 5원, 1원짜리 동전들은 어떤 취급을 받을 것인가. 돈을 푸대접하는 나라가 한국 말고 또 있는 지 궁금하다.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