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설상가상’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대통령을 탄생 시켰다. 그러나 당선된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으로 야당이 됐다. 이에 그치지 않는 설상가상의 곤욕을 겪고 있다.

이번 3분기 국고보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중앙선관위는 61억1천900여만원을 열린우리당·한나라당·민주노동당·민주당·자민련 순으로 원내 의석수와 총선 득표율에 따라 나눠 지급했다.

물론 민주당도 1억7천400여만원을 배정받긴 했으나 빚쟁이에게 넘어 갔다. 빚은 2002년 대선 때 S 인쇄업체에게 진 2억원이다. S사는 당시 민주당과 계약했으므로 중앙선과위의 국고보조금을 미리 가압류해 두었던 것이다.

민주당측은 “그 돈은 당시 노무현 후보의 광고 인쇄비이므로 열린우리당이 갚아야 할 돈”이라며 억울해 하고 있으나 열린우리당에선 ‘난 모른다’는 식으로 외면하고 있다.

조동만 한솔 부회장의 불법 정치자금 리스트에 오른 열린우리당 김한길 의원은 자신이 받은 1억원을 민주당에 썼다고 말한다. 김 의원은 2003년 3월 당시 제16대 민주당 기획단장으로 있으며 돈을 받긴 했으나 여론조사 비용으로 썼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민주당측 얘기는 다르다. ‘당시 두 군데의 여론조사 업체와 사전 일괄 계약을 하여 한꺼번에 돈을 주었기 때문에 1억원을 따로 줄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장전형 민주당 대변인은 “당에 입금 기록이 없다”고 밝히고 “금시초문”이라는 것은 당시 민주당 사무총장이던 김옥두 전 의원의 말이다. 김의원의 1억원 행방은 당국에서 조사하면 알 일이지만 딱한 게 민주당의 처지다.

탈당한 대통령의 선거운동 인쇄비 때문에 국고보조금을 떼이고 탈당한 국회의원의 불법 정치자금에 아직도 민주당 연루설이 나도니 이래저래 고심이 자심해 보인다.

이도 세계 정치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당선된 대통령의 소속 당 탈당이 가져온 그야말로 희한한 후유증이 아닌가 생각된다. 정치학의 연구 사례가 될만 하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