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9일(한국시각) 폐막한 2004 아테네 장애인올림픽에서 한국이 금메달 11, 은메달 11, 동메달 6개를 획득, 종합 16위를 차지했다. 취약한 장애인 생활스포츠 기반과 후진적인 장애인 선수 육성 시스템을 감안하면 16위는 대단한 성적이다. 아테네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하면서 살펴보니까 한국은 ‘장애인 스포츠’를 스포츠가 아닌 복지로 이해하는 시각이 가장 큰 문제다. 제도적으로 장애인 스포츠의 주무 부서는 보건복지부다. 그러나 복지부는 장애인 스포츠를 독립적인 스포츠로 인식하지 않고 재활과 사회통합을 위한 수단으로만 인식한다. 장애인 교육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장애인 노동은 노동부가 맡는데 장애인 스포츠는 문화관광부가 아니라 복지부가 담당하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비유를 하자면 장애인 교육을 노동부에서 하는 꼴이다.
장애인 스포츠를 지원할 법적 근거가 하나도 없다는 것은 심각한 현실이다. 법적 근거가 없어 장애인 올림픽에 나온 선수나 코치는 대표팀 선수, 대표팀 코치가 아니다. 국가대표 선수는 대한체육회와 각 경기 단체에서 추천을 받아야 하는데 장애인들은 이들 단체의 추천 대상에 들어 있지 않는 것이다. 예산 지원이나 메달획득에 따른 연금 체계에서도 스포츠 시스템 밖(외)에 있기 때문에 극심한 불이익을 당한다. 한국 장애인 스포츠는 워낙 전반적으로 황폐하다. 전국에 장애인 체육시설이 고작 14군데다. 운영비로 정부가 40%를 지원하지만 나머지 60%는 돈을 벌어서 채워야 하기 때문에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비장애인한테 사용료를 받고 대여한다.
장애인 선수 육성의 첫 단계는 아무래도 실업팀이다. 투자가치를 따지는 사기업에 실업팀을 만들라고 권유하기는 어렵지만 공기업에서는 가능하다. 공기업 경영평가 점수제도가 있듯이 장애인 실업팀 육성팀에 인센티브를 많이 주면 잘 나가는 공기업에서 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하여도 무엇보다 장애인 스포츠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이 변해야 한다. 장애인 스포츠를 기량의 경쟁 등 경기적 측면에서 바라볼 때 스포츠는 살 수 있다. 아테네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한 한국선수들! 정말 잘 싸웠다!/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