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장 보선

파주시장 6·30 보선이 과열 기미를 보인다. 유세장에서 서로 입장이 다른 지지자들끼리 몸싸움을 벌이는 것도 추태이지만, 여야 수뇌부가 대거 동원되는 대리전 양상으로 가는 건 유권자들이 경계해야 할 현상이다. 지난 주말 이부영 열린우리당 의장,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에 이어 계속 중량급 소속 정치인을 투입한다는 것이 여야의 전략이다.

기초자치행정은 사실상 정치와 아무 상관이 없다. 아무 상관이 없는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를 두고 여야가 이처럼 열을 올리는 것은 일종의 기세 싸움이다. 그간의 경험에 비추어 시장·군수 자질이 의심스런 사람이 소속 정당바람에 당선되는가 하면, 시장·군수 자질이 충분한 사람이 소속 정당 간판 때문에 낙선되는 경우가 적잖았다. 물론 정당 선호도와 인물평가가 일치한 경우도 없지 않았지만 엇갈리는 수가 잦았다. 이래서 기초단체장 선거에 정당공천을 배제하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기초단체장 선거의 정당 공천 배제는 더 두고 논의해야 할 일이지만, 당장 거부감을 주는 것은 정치권이 도대체 뭘 했다고 유권자들 앞에 나서 감히 표를 구걸하느냐는 것이다.

백성들은 먹고 살기에 지쳐있는 판에 한 일이라고는 쥐뿔도 없는 정치권이 입만 살아 나불거리는 모양새가 참으로 보기 거북하다. “떼거리로 몰려다니는 것을 보면 표를 주고싶다가도 주고싶지 않는 마음이 생긴다”는 유권자들도 있다. 어느 정당 소속이 당선되든 선거가 끝나면 이긴 정당은 일과성 정치적 잔치만 치를 뿐, 그 정당이 기초자치단체 살림을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 그 정당이 지역주민을 특별히 보살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 때문에 누가 과연 살림꾼이냐가 선택의 기준이 돼야하는 게 유권자들 입장이다. 후보자들을 검증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렵다. 이래서 선거는 막중하고 유권자의 책임은 무겁다. 다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정치건달은 배척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파주시는 미래 가치의 잠재력은 풍부하면서도 현실은 살림살이가 무척 어려움이 많은 기초자치단체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