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제2청의 태생적인 문제가 벌써부터 감지되고 있다. 출범한 지 열흘밖에 지나지 않았는데도 벌써부터 말들이 많다.
100만인 서명운동까지 벌이며 야심차게 출발한 제2청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점들이 한두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인사때문에 저마다 수원 본청으로 향하는 경기도 제2청 문제와는 사뭇 다르다. 공무원 180여명중 경기도교육청에서 전입해 온 공무원들은 고위직 공무원들까지 포함해 고작 20여명에 지나지 않는다.
경기도교육청 근무 경험이 없는 공무원들이 새로 출범한 제2청을 어떻게 꾸려 나갈지 우려된다.
밑그림이라도 그려줄 공무원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내부에서조차 제기되고 있다. 최소한 1과에서 과장이나 주무 계장 정도는 경기도교육청 생리를 알아야 한다는 의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의 업무 협조가 제대로 이뤄질지도 의문이다.
지역 교육청 8곳을 어떻게 관리할지, 묘안이 따로 있는지 묻고 싶다.
공무원 대부분 경기북부 시·군에서 자리를 옮겼다. 생면 부지 공무원들끼리 근무를 시작한 것이다.
업무 효율을 기대한다는 건 무리다. 인사나 예산 모두 경기도교육청과 통할 일들인데 걱정이다.
경기도 제2청은 비록 미흡하긴 하지만 의견들이 서로 교차되는데 말이다.
경기북부지역 교육행정을 담당할 제2청을 개청시키기 위한 준비팀은 개청 1주일 전 구성됐다.
좀 과하게 말하자면 누가 무엇을 해야 되는지조차 정립되지 않은듯 싶다. 부교육감과 국장 등을 위한 관사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준비되지 않은 개청인 셈이다.
아직 평가는 이르다. 다만 지금의 우려가 굳어지지 않길 기대할뿐이다.
/배 성 윤 기자 syba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