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인

이병도 박사의 친구이자 이 박사에게 역사공부를 권유한 최태영 박사는 ‘일본의 지배계층은 거의 다 한반도에서 건너간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백제와 고구려가 망한 뒤 7~10세기 동안 ‘도래인(渡來人·바다를 건너 온 사람)’은 150만 명이나 된다. 이 중 상당수가 한반도에서 건너 온 사람임은 두 말 할 필요가 없다. 신라와 당나라에 나라를 빼앗긴 백제, 고구려의 중상류층 상당수가 나룻배를 타고 미리 터전을 잡고 있던 친척이 사는 일본땅으로 건너간 것이다. 이성계가 한양에 수도를 세울 때 한양의 인구가 10만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할 때 민족사적 대이동인 셈이다.

7세기 말까지 일본은 부족국가 시절이었다. 그러나 문명화한 인구가 갑자기 대거 유입되면서 그들끼리 다시 말해 부여파, 강진파, 평양파 등이 날이면 날마다 주도권 싸움을 벌였다. 싸움을 벌이면서 주고 받은 암호집이 바로 4천500수에 달하는 ‘만엽집(萬葉集)’이다.

지금도 일본 지배계층의 혈통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키가 크고 이(齒)가 가지런한 동이족(東夷族)은 피지배계층인 아이누족과 남방계인 왜(倭)와는 거의 피가 섞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자들에 따르면 아이누족과 피가 섞일 경우 이가 안 좋아진다고 한다. 한국을 향하여 망언을 외치는 일본 지도자들을 보면 우리와 골격이 거의 똑 같다. 최근 한국과 일본인 간에는 골수 이식이 가능한 사람이 많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본의 ‘스모’를 보면 “다가 다가 다가가 다가가”라고 심판이 외친다. 일본 사람에게 물어보면 무슨 뜻인지 모른단다. 다만 옛날부터 내려오는 소리라고만 한다. 그러나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금방 ‘다가가서 붙으라’는, 파이팅하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의 스모는 고구려에서 건너간 것이기 때문이다. 고구려 고분을 보면 현재 우리씨름 뿐만 아니라 다리 한짝을 높이 들면서 준비자세를 취하는 스모와 똑 같은 벽화도 있다.

일본 왕이 좋아하는 벚꽃의 원산지가 제주도임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일본학자들도 인정했다.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인 관계는 분명해진다. 일본인들 중에 이런 역사를 아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