性 풍속도

1995년 TV 드라마 <사랑과 결혼> 이 ‘혼전 성관계’를 다뤘다. 약혼자에게 ‘순결’을 바친 여성이 새로 나타난 남자 앞에서 갈등하는 줄거리였다. 그런데 방송위원회의 경고를 받았다. 비디오를 보던 여성이 남성의 허벅지 위에 놓인 손을 살짝 빼는 장면때문이었다. 성은 그 자체로 금기였다. 2000년 들어서 양상은 조금 달라졌다. 2002년 <고백> 과 2003년 <앞집 여자> 는 부부의 성 문제를 다뤘다. <고백> 이 진지하게 접근했다면, <앞집 여자> 는 다소 가벼웠다. 코믹 터치 방식의 <앞집 여자> 는 순항했지만, <고백> 은 외설 논란 속에 정공법을 포기했다.

젊은이들의 성을 다루기는 2003년 <옥탑방 고양이> 가 대표적이다. ‘동거’가 일대 화두였다. 술에 취해 성관계를 맺는 젊은이들의 모습까지 나왔다. 같은해 <결혼 이야기> 나 <연인> 도 동거를 다뤘다. ‘연상녀·연하남’의 연애담인 2004년 <천생연분> 은 성을 표현했지만 암시적이었다.

지난해까지도 ‘성’은 주로 양념이나 소품의 구실이었거나, 조심스럽게 에둘러 스쳐지났다. 또는 완충제로서 코믹한 설정을 집어 넣었다. 또 작심하고 다루려는 시도는 사회적 저항에 쉽게 꺾였다. ‘동거’ 바람을 부른 <옥탑방 고양이> 조차도 성을 그리는 방식에 매우 수줍었다. 변화라면, 1995년의 ‘약혼녀’가 “순결을 잃었다”고 울부짖던 모습과 달리 <옥탑방 고양이> 는 “괜한 실수를 했다”고 한숨짓는 정도였다. 2005년은 드라마의 성 표현과 수위, 방식이 변화한 해로 방송사에 기록될 만하다. 연인간의 혼전 성관계는 당연한 일인 듯 전제되고 ‘하룻밤 사랑’도 쉽게 표현된다. 미혼모도 줄줄이 등장한다.

순결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있던 드라마들이 10년여의 진통과 변화 끝에, 동거와 혼전 성관계, 미혼모 문제 등을 그대로 드러내는 지점에 이르렀다. 성 담론의 부담감을 덜기 위해 사용하던 장치들도 이제 거의 쓰지 않는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시청자 일반의 반감도 예전에 견줘 상당히 사라졌다. 그러나 이는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 있다. 성적 소재를 무조건 ‘성문란’으로 몰아가는 구태의연한 시각은 경계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는 더욱 위험하다. 성은 은밀한 관계이 지 노골적인 개방이 아니기 때문이다. TV드라마가 요즘 그 한계를 넘고 있어 걱정스럽다.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