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시집 ‘민들레ㅃ의 영토’

“기도는 나의 음악 / 가슴 한 복판에 꽂아 놓은 / 사랑은 단 하나의 / 성스러운 깃발 // 태초부터 나의 영토는 / 좁은 길이었다 해도 / 고독의 진주를 캐며 / 내가 / 꽃으로 피어나야 할 땅 // 애처로이 쳐다보는 / 인정의 고움도 / 나는 싫어 // 바람이 스쳐가며 / 노래를 하면 / 푸른 하늘에게 / 피리를 불었지 // 태양에 쫓기어 / 활활 타다 남은 저녁 노을에 / 저렇게 긴 강이 흐른다 // 노오란 내 가슴이 / 하얗게 여위기 전 / 그이는 오실까 // 당신의 맑은 눈물 / 내 땅에 떨어지면 / 바람에 날려 보낼 / 기쁨의 꽃씨 // 흐려오는 / 세월의 눈시울에 / 원색의 아픔을 씹는 / 내 조용한 숨소리 // 보고싶은 얼굴이여”

스무 살 즈음의 예비수녀 시절, 이해인 수녀가 부산 성베네딕수녀원 베란다 틈새에 핀 민들레 한 떨기를 보고 쓴 詩 ‘민들레의 영토’다. 이 시는 10년쯤 뒤인 1976년 2월, 박두진 시인(작고) 등의 눈에 들어 시집으로 출판됐다. 초판 1천500부의 소박한 ‘민들레의 영토’가 30년을 이어오며 50쇄라는 기록적인 발행부수와 부수 이상의 사랑을 받고 있는 국민시집이 되어 오늘도 널리 애송된다.

‘민들레의 영토’ 출간 30년을 맞이해 정호승 시인은 ‘꽃들의 영토로 알았던 ‘민들레의 영토’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하느님과 우리 사이의 영토인줄 이제야 알겠다”고 칭송했다.

이해인 수녀는 “쓰는 시간보다 쓴 것들을 돌아보고 익히는 시간을 갖겠다”고 말한다. 종이가 아닌 삶에 시를 쓰겠다는, 삶 자체를 시로 만들겠다는 다짐이다. 최근 발간한 영역시선집 ‘눈꽃아가’에서도 이해인 수녀는 서문에서 “고독과 침묵의 수도생활을 통해서 나 자신도 조금씩 ‘버릴 것은 버리고’ 한 편의 시가 되어 가는 느낌을 받는다”고 적었다.

리모컨으로 자동차 문을 여는 일도 신용카드가 돈을 대신하는 일도, 놀랍고 신기해서 그 일상의 새로움에 늘 감탄하느라 지루한 줄 모른다는 이해인 수녀가 어느새 갓 환갑을 맞았다. 시인 이해인 수녀, 수녀 이해인 시인, 두 이름이 모두 아름다운데, 10여년 전 봄날 안양 수리산 성지(聖地)에서 한국가톨릭문인회가 마련한 ‘피정(避靜)’ 때 문인들과 함께 ‘고향의 봄’을 낮은 목소리로 부르던 이해인 수녀의 모습이 생각난다.

/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