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인권예술제 12일까지 수원미술전시관

생활속 ‘인권’ 어디까지 왔나…

민주화 이후 우리 사회가 잠시 인권에 대한 관심을 놓고 있다. 그만큼 인권이 신장됐기 때문일까. 이에 대한 대답은 그리 명쾌하진 않다. 아직도 인권문제는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인권의 현주소를 다같이 생각해볼 수 있는 문화행사가 열려 눈길을 끈다.

한국인권행동 예술가모임이 주최하고 인권예술제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제5회 수원인권예술제가 그것으로 6일부터 12일까지 수원미술전시관 1층 전시장에서 열린다.

‘생활속 인권’을 주제로 장애자들의 도심속 생활문제와 평택 미국기지 이전에 따른 주민들의 생존권 등 오늘날의 인권상황을 사진와 창작물으로 선보인다.

전시기간동안 김영섭·이석기·강상중·김혜진·박요아 작가 등 40여명이 인권을 주제로 한 창작품을 출품하고 장애인과 노인들 등 사회적 약자들의 어려운 생활환경도 눈여겨 볼 수 있다.

여기에 장애시설인 자혜학교 학생들의 창작품은 물론 지체 및 시각장애아들이 운동장 등 대중이 이용하며 겪는 어려움을 담은 사진작품 10여점도 감상할 수 있다.

서광학교 학생들은 장애아로 생활하며 느끼는 바람을 설문지 형식으로 게재한다.

6일 오후 4시30분 개막식에는 오완호 한국인권행동사무총장의 인권강연회를 시작으로 연극인 표수은씨의 퍼포먼스, 김소희·박해일씨의 클라리넷 음악공연이 펼쳐진다. 전시기간동안 로비에선 ‘콜롬비아의 전쟁’ 등 인권영화 7편이 상영된다.

한편 주최측은 ‘인권운동 동향과 과제’, ‘생활속 인권개선을 위한 과제’ 등을 주제로 3차에 걸친 좌담회도 마련한다.

이오연 인권예술제 운영위원장은 “학생들이 인권교육측면에서 많이 관람했으면 좋겠다”며 “홀로 사는 노인과 장애인 등이 생활속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고 개선책을 찾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의(031)288-3647

/이형복기자 bo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