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금실 전 법무가 현직 장관이던 때, 여권에서 국회의원에 출마하라는 총선 차출의 러브 콜이 심했었다. 이엔 청와대의 작용이 적잖았던 걸로 전해졌다.
5·31 지방선거용 개각의 폭이 설왕설래한다. 청와대 뜻대로 광역단체장에 나가고 싶어하는 장관들이 있는 반면에, 나가기 싫은데도 떠밀림을 당하는 장관들이 있는 것 같다. 오영교 행자(충남지사), 이재용 환경(대구시장), 오거돈 해양수산(부산시장) 등은 출마 의지가 있는 장관들이다. 그러나 경북지사, 광주시장, 경남지사 후보로 각각 낙점된 추병직 건교·정동채 문광, 박흥수 농림부 장관 등은 나가고 싶지 않은 데도 출마를 독려받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열린우리당 경기도지사 후보로 가장 유력시 됐던 김진표 부총리가 원래부터 출마를 원치 않았던 데다, 여권내에서도 문제점이 없지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유보한 것으로 들린다. 그런데 이같은 후문 속에 대타로 찍힌 진대제 정통부 장관 역시 경기도지사 후보를 고사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 때문에 지방선거용 개각의 폭이 중폭이 될 것인지, 아니면 소폭이 될 것인지에 관측통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제는 장관 자리가 이력서에 경력 한 줄 넣기위한 몸집 불리기로 전락했다는 점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유시민 의원을 굳이 보사부 장관 자리에 앉힌 것도 그를 키우기 위한 배려인 건 세상이 다 아는 일이다. 하긴, 노 대통령도 그런 전력이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세 번이나 떨어져 백두이던 그(노)에게 해양수산부 장관을 제수하던 때가 당내 대권 후보설이 나돌 무렵이었다. “본인이 하도 원해서 기용한 것으로 안다”는 말은 당시 청와대측에서 나온 얘기다.
내각은 국정의 중심이고 장관은 내각의 구성원이다. 노 대통령은 취임 초에 전문성과 연속성을 살리기 위해 장관을 자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한 바가 있다. 그 다짐이 헛 것이 된 노무현 정부의 국정 중심이 내각에 있다고 볼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 것인지 궁금하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