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이방인들’

“이걸 어떻게 해야 하는 겁니까?” 어느 지방의원 예비후보자의 푸념이다. 명함을 주었더니 보지도 않고 길가 쓰레기통에 넣더라는 것이다. 지방의원만이 아니다. 자치단체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도지사 나온 사람들 이름 아느냐고요? 몇 명이 나왔죠?” 참외 행상인의 말이다. 한 식당 아주머니는 더 기막혔다. “시장 선거요? 신경 껐어요”

지방정치권은 5·31 지방선거 열기가 달대로 달아올랐다. 그런데 막상 표를 거머쥔 유권자층은 냉랭하다. “찍을 사람 정했느냐고요? 글쎄 투표장에 갈지 잘 모르겠네요” 40대로 보이는 어느 낚시꾼의 얘기다.

도지사·시장군수와 도의원·시군의원 등을 뽑는 4大선거의 지방선거는 지방자치선거다. 이런 지방선거가 대체로 유권자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하는 이유를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 수가 있다. 그 중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은 지역주민이 ‘지방자치’란 것에 별 매력을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점이다. “출마하는 사람들은 그들 멋으로 살고 우리같은 사람은 우리 맛대로 사는 게 아닙니까?” 시장 상인의 말이다.

도대체 어디서, 뭣부터 잘못된 것인지 진단하기도 어렵고 처방을 내리기도 어려운 일이다. 분명한 사실은 이같은 냉소주의가 그들의 잘못이 아니란 점이다.

오는 16~17일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 양상이 좀 다를진 모르지만 후보자들 열기만큼 뜨겁긴 아무래도 어려울 것 같다. 자신의 명함을 쓰레기통에 버림당한 그 지방의원 예비후보자는 또 이런 걱정을 했다. “선관위에서 보내는 선거공보물인들 어디 제대로 보겠습니까…” 틀린 말이 아니다. 거둬가지 않은 선거공보물이 아파트 수취함마다 가득했던 적이 있다.

‘작은 투표용지 한 장에 큰 대한민국이 있습니다’ 선관위의 투표 권고 구호다. 지방선거도 나랏 일이다. 큰 지역행사다. 기왕이면 선택에 좀 적극적인 유권자층의 관심이 있었으면 한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