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민주노동당(민노당)은 과거 운동권의 양대 산맥이었던 민족해방(NL) 계열과 민중민주(PD) 계열의 연합체적인 성격을 띤 정당이다. NL계열은 통일운동에 주력하면서 북한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입장인 반면 PD계열은 북한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노동운동의 주도성을 강조한다. 양측은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폭이 넓지 않다는 점을 알면서도 2002년 대선 때 중도파인 권영길 후보를 중심으로 세 확산을 시도했고, 현재까지 그 같은 골간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두 세력이 진보정당이란 명분 아래 ‘불안한 동거’를 하고 있는 셈이다. 민감한 현안이 불거질 때마다 민노당이 정파간 대립으로 혼란을 겪는 이유다.

최근 북한 핵실험 파문이 불거졌을 때 ‘모든 핵을 반대한다’는 강령이 엄연히 있음에도 당 지도부 일각에서 “북한의 핵 보유는 자위적 수단”(이용대 정책위의장)이란 얘기가 나와 파문이 일었던 것도 이 같은 세력 구조와 무관치 않다.

그러나 민노당을 친북 정당으로 규정하는 건 현실과 맞지 않는다. 우선 당비를 납부하는 진성 당원 7만여 명 중 소위 운동권이 아닌 당원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 NL계열의 대다수는 자생적인 통일론자여서 이른바 ‘주사파’(주체사상파)와는 거리가 멀다. 특히 권영길·김혜경 전 대표나 문성현 대표 등 중도파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당 대표를 맡아왔다는 점은 적어도 민노당 내부에서 NL계열과 PD계열 간에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민노당의 인적 구성을 좀 더 깊이 분석해보면 사실 오해의 소지가 없진 않다. 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친북’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 PD계열이 다수이지만, 당원들의 직접투표에 의해 선출된 최고위원은 NL계열이 많다. 더욱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NL계열 내에서 주사파가 적지 않은 세를 확보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민노당 NL계열의 일부가 ‘주사파’에 가깝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민노당은 국회 의석 9석을 가진 엄연한 대한민국 제도권 정당이다. “북의 추가 핵 실험에 대한 강력한 반대 의사를 전하고 핵무장 해제를 설득하겠다”며 평양에 간 민노당 문성현 대표와 권영길 의원단 대표 13명의 언행을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북한 정권의 선전선동에 들러리가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