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미 의원(우·안성)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북한의 방북초청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특사 형태이든 아니면 개인적 자격이든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을 성사시켜 북핵사태의 해결을 기대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6자 회담에서 더 나아가 이미 통일을 경험한 독일을 포함, 7자 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통일 독일 이전 서독과 동독의 갈등과 안보위험 등을 어떻게 해결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통일을 이뤘는지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북핵 사태가 발생한 뒤 정부 각 부처의 엇갈린 말들로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든 것은 매우 유감이다.
참여정부가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침착하게 대응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 각 부처는 통제되지 못하고 있다.
최 성 의원(우·고양 덕양을)
북한이 핵실험을 한 이후 유엔의 대북제제 결의안이 통과되었고,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6자회담 재개가 합의됐다. 또한 미국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는 등 국제정세는 하루 앞을 예측하기 힘든 상태다.
미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의 압승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이 재조정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에 대한 결정은 유보돼야 하지 않는가.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시 그것이 어떠한 형태이든 북한의 대남보복도발을 초래해 한반도가 초토화될 수 있다. 이는 수조원 이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해 ‘핵 IMF’를 불러올 수가 있다.
한나라당과 미국 네오콘의 대북정책은 위험하며 특히 군사적인 옵션 고려는 위험천만한 생각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