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 일본

독일은 2차대전 당시 나치 정권에 의해 강제노동에 동원된 외국인 생존 피해자 11만9천여 명에게 우리 돈으로 모두 6조원의 배상금을 연내 지급키로 했다. 강제노동 종류와 피해 정도에 따라 1인당 최하 123만원에서 최고 920만원까지 지급된다.

배상금은 독일 정부가 낸 것도 있지만 기업의 출연금이 많다. 2차대전 때 외국인 강제 노동으로 부당이득을 본 독일 기업들이 51억유로(6조원)의 배상금 가운데 절반을 냈다.

영화 ‘쉰들러’는 2차대전 때 전쟁을 이용해 거액의 돈을 번 기업인 쉰들러의 실명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처음엔 돈밖에 몰랐던 그가 유태인들이 강제노역장과 학살 현장에 끌려가는 것을 목격하고는 달라졌다. 나치 군인들에게 뇌물을 주어 유태인들을 빼내곤 했다. 참담한 전쟁터에서 인류의 인간애를 꽃피운 쉰들러는 2차대전 종전 후 미국에서 살다가 지난해 타계했다. 미망인은 얼마전에 작고했다.

강제노동 배상금 출연에 참여한 독일의 기업인들은 쉰들러의 정신을 계승한 후예들이다. 독일의 배상금 지급은 자진해 나선 것이다. 자진해서 여러 나라에 수소문해 신청을 받았다.

이에 비하면 일본은 너무나 다르다. 일제에 의해 끌려간 징용자는 강제노역을 혹사 당했다. 위안부로 끌려간 처녀들은 전쟁사상 유례가 없는 종군 간음을 일본군들에 의해 강요받았다. 이들은 식민지 백성으로 개끌어가다시피 끌려갔다. 공포의 눈망울을 초점잃은 채 굴리며 동네에서 끌려가는 것을 본 사람들이 아직도 살아있다. 지금의 노인들 중엔 이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을 것이다. 이토록 목격자가 있는 사실을 일본 정부는 부인하고 있다.

일본 위정자들도 말로는 침략에 의한 과거의 식민지 지배를 반성한다고 한다. 그러나 2차대전 전범 청산은 독일과 아주 정반대다. 독일은 나치의 피해자들을 찾아다닌 데 비해 일본은 군벌의 피해자들이 있는 것도 없다고 우긴다. A급 전범들을 되레 영웅시해가며 참배하는 것이 일본이다.

/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