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영토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녹둔도(鹿屯島)는 두만강 하류 조산(造山) 부근에 있는 하천도서다. 역사상 우리나라 고유영토로 문헌에 처음 기록된 것은 ‘세종실록’ 지리지인데 처음엔 여진말의 음을 따서 사차마 또는 사차(沙次)· 사혈·사혈마 등으로 불리다가 세종 때 육진(六鎭)개척 이후 북변의 지명을 점차 새로 지을 때 ‘녹둔도’라고 명명하였다. 섬둘레는 2리(里), 높이는 수면에서 10자(尺) 정도 되는 작은 섬이지만 우리 민족이 겪은 수난의 역사가 서려있다.

육진개척 이후 여진족들이 물자가 궁핍하면 보리·밀·수수와 각종 어류 및 청백염(靑白鹽)이 생산되는 녹둔도에 자주 잠입하여 약탈을 일삼아 조선군이 길이 1천246척의 토성을 쌓고 높이 6척의 목책을 둘러 병사들이 방비하는 가운데 농민들이 배를 타고 섬에 오가며 농사를 짓게 하였다.

1587년(선조 20) 9월과 이듬해, 조선과 여진족 사이에 두 차례 치열한 전투가 있었다. 여진부족 중 하나인 시전부족(時錢部族)이 기습, 격퇴는 하였으나 피해가 막심했다. 조선군 11명이 전사하였으며 군민 160여명이 납치되고 15필의 말도 약탈당했다. 당시 녹둔도는 함경도 경흥부의 관할로서 부사(府使)는 이경록(李慶祿), 방수책임은 조산만호(造山萬戶) 이순신(李舜臣)이었다. 이경록·이순신은 두차례의 정벌에 나서 포로들을 구출하고 여진족을 토벌했다.

녹둔도는 1800년대 이후 강상류의 모래가 유속(流速)에 밀려 내려와 녹둔도와 그 대안(對岸) 사이에 퇴적됨에 따라 연륙(連陸)돼 갔다. 더구나 1860년 베이징조약(北京條約)으로,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이었던 녹둔도가 조선·청· 러시아 3국 간의 국경지역이 됐다. 1882년 1월 고종이 어윤중(魚允中)을 서북경략사(西北經略使)로 삼고 녹둔도를 우리 영토로 편입할 방략을 모색하도록 명했고, 러시아와 국교가 열리자 러시아 공사에게 이 섬의 반환을 요청했으나 무위에 그치고 말았다.

그런데 지금 녹둔도에 러시아 군사 기지가 들어 서 있고, 최근 제방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보도됐다. 하지만 북한이 1990년 옛 소련과 국경조약을 맺으면서 베이징조약을 그대로 확인해줘 우리조차 영토 주장을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강성대국’과 ‘주체’를 외쳐 온 북한이 엄연히 우리 땅인 녹둔도를 러시아에 그냥 내준 셈이다./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