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외면

시설 개·보수비 부담… 도내 12.9%만 참여

경기도가 민간보육시설의 환경개선을 위해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도입, 추진하고 있지만 참여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부터 민간보육시설을 국·공립보육시설 수준으로 향상시킨다는 정부 계획에 따라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오는 2008년까지 모든 민간보육시설에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도내 보육시설들이 시설개·보수비에 대한 부담 등으로 평가인증제 참여를 기피하면서 참여실적이 저조한 상태다.

도내 평가인증제도 대상 7천642개 보육시설 가운데 지난해 132개소가 인증을 받았고, 올해 855개소가 인증제를 신청해 현재 자체점검이나 현장관찰 중에 있는 등 총 987개소(12.9%)만이 평가인증제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도는 올해 평가인증제 신청목표를 1천62개소로 잡았으나 지난 7월 제3기 모집까지 366개소(34.4%)만이 신청, 당초 세차례의 참여신청을 받으려던 계획을 수정해 지난달 4차 신청을 받았지만 489개소만 추가 신청하면서 계획의 80.5%인 855개소만이 인증제에 참여하게 됐다.

시·군별로는 양주시가 164개 보육시설 중 단 3곳만 신청하면서 미참여율이 98.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남양주시 96%, 연천군 93.5%, 용인시 93.3% 순이다. 그나마 김포시(60.9%)와 광주시(61.9%) 등은 미참여율이 낮은 편이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부터 인증제 참여를 희망하는 보육시설에는 시설개선비 300만원과 보육교사 직무평가수당 (1인당 월 3만원), 평가인증 참여수수료 지원 등을 인센티브로 제공해 평가인증제를 활성화 시킬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평가인증을 받기위한 시설 개·보수비 부담을 보육시설이 전액 부담하면서 시설들이 인증체 참여를 기피하고 있다”며 “내년도부터는 인센티브제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용진기자 comnet71@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