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1676·숙종 2~1759·영조 35)은 한국적 산수화풍(山水畵風)을 세운 화가로 유명하다. 그의 선세(先世)는 전라남도 광산·나주 지방에서 세거했으나 고조부 연(演) 때 경기도 광주로 옮겨 와 살았다. 13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노모를 모시고 살았는데 어려서부터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한다. 위수(왕세자를 호위하는 직책)라는 벼슬을 비롯 한성부주부, 청하·자연·하양 현감을 거쳐 훈련도감랑청(訓鍊都監郞廳), 양천 현령, 사도시첨정, 첨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종이품 가선대부지중추부사(嘉善大夫知中樞府事)를 지냈다. 겸재가 도화서화원(圖畵書畵員)이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그러나 그의 집안은 원래 사대부 출신으로 중인(中人)은 아니었다. 수대에 걸쳐 과거를 통해 출세하지 못한 한미한 양반이었으나 겸재는 뛰어난 그림 재주 덕분에 관료로 추천 받았다.
화가로 명성을 얻은 그는 당시 시서화일체사상을 중시하던 문인들과 교류하게 됐다. 금강산, 관동지방의 명승, 서울에서 남한강을 오르내리며 접할 수 있는 명소들을 많이 그렸다. 특히 문인지우(文人知友)들과 관련되는 여러 곳의 명소를 화심(畵心)에 담았다. 회화기법은 전통적 수묵화법이나 채색화의 맥을 이어 받았지만 그 나름의 필묵법(筆墨法)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자연미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다. 그의 회화기법은 아주 다양하여 정밀묘사법에서부터 간결하고 활달한 사의화(寫意畵)까지 있어, 자연에서 얻은 이상을 나름대로 재구성하는 과감성과 회화의 원리를 발전시키는 등 여러 단계의 작품을 보여준다.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새 1천원권 지폐 뒷면에 실린 그림 ‘계상정거도’가 겸재의 작품이라고 한국은행이 밝혔지만 안동 ‘도산서당’인가 ‘계상서당’인가를 두고 논란이 분분하다. 기와집 안에 그려진 인물이 퇴계라는 이 그림을 그렸을 때의 겸재는 71세였다. 퇴계 이황과 겸재 정선은 동시대의 인물이 아니다. ‘계상정거도’는 퇴계가 죽고 177년이 지난 이후에 그려진 작품이어서 퇴계의 삶을 비춰보면 ‘계상서당’이 맞고, 외관·지형 등을 감안할 땐 ‘도산서당’이다. 문중에선 “겸재가 대표작을 집필하던 생전의 퇴계의 모습을 담아내면서 고증 없이 도산서원을 배경삼아 상상으로 그렸을 것”이란다, 문중의 추론이 맞는 것 같다.
/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