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복선전철 공사 ‘빨간불’

금촌구간 고가화로 하역장 폐쇄 결정… 하역 근로자들 반발

경의선 복선전철공사가 한국도시시설공단 및 철도공사측의 금촌구간 고가화에 따른 하역장 폐쇄와 시멘트 하역작업 중단 통보에 반대하는 대한통운화물 하역 근로자들의 공사방해로 공사가 6개월여간 지연되는 등 정상개통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6일 한국철도시설공단 및 철도공사, 대한통운화물 금촌출장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철도공사가 경의선 복선전철화 공사구간중 금촌구간 고가화로 인해 시멘트 하역 등 화물취급을 2008년 3월 이후 중단할 것을 대한통운금촌출장소에 통보했다.

이에 대해 대한통운화물하역 근로자들이 크게 반발, 지난해 11월부터 경의선복선전철 제4공구 노반공사를 물리적으로 막고 있다.

이처럼 하역 근로자들이 반발하자 한국철도시설공단과 공사관계자, 시공사인 N건설회사, 대한통운관계자 등이 이날 대책협의를 갖고 시설공단이 금촌역 하역을 월롱역으로 이전해 추진하는 동시에 다음주부터 공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대한통운금촌출장소 및 하역 근로자들은 ‘하역을 금촌역에서 이전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그동안 경의선 공사이후 하역 물량이 90% 감소한 부분에 대한 영업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또 철도공사의 일방적 영업소 폐쇄조치에 대해 보상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대한통운화물금촌출장소에는 4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으며 이들은 서울항운노조와 연대해 금촌역 구역내 파일항타기초공사 및 고가 구조물공사를 못하도록 시멘트 등을 쌓아 놓고 장비가 진입하면 물리적으로 막고 있다.

대한통운화물 금촌출장소관계자는 “30여년 동안 하역일을 해 온 사람들에게 상의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화물취급 중단통지를 보내고 비워달라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생계대책을 마련해 줄 때까지 어쩔 수 없이 우리의 권리를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하역 근로자들이 작업중단에 대해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는 법적근거도 없고 해줄 수도 없다”며 “금촌역 하역장 폐쇄에 따라 인근역인 월롱역 하역장을 제안한 만큼 조만간 공사를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