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예비후보

오는 12월19일은 제17대 대통령 선거 투표일이다. 중앙선관위가 이를 앞두고 접수한 대선 예비후보 등록 첫 날인 엊그제 자그마치 15명이 등록했다.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 그리고 기타 정당 무소속 등이 등록했지만 세인이 기억할만한 사람은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다.

정치권에서 정작 거명되고 있는 여권, 야당 주자들은 아직 등록을 미루고 있다. 대선 예비후보 등록은 앞으로 약 30명에 이를 전망이다. 대통령감이 이토록 많은 게 아니다. 이름을 알리고싶어 하는 매명주의자들이 대선 예비후보 제도를 악용하고 있는 것이다. 대통령 선거 본선에는 나설 속셈이 아닌 요량이면서 우정 등록하는 예비후보가 태반이다.

이들은 이력사항에 ‘제17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등록’ 이같은 한 줄을 넣기위해 나랏 일의 대사인 대통령 선거를 희화화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등록하는데 돈이 드는 것도 아니고 까다로운 절차가 있는 것도 아니다 보니 이런 코미디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대부분 오는 11월 본선 후보 등록이 정식으로 있기 전까지는 사무실도 두고 홍보물 등을 배포하는 등 후보 행세가 이어질 것이다.

살벌한 대선 판도에서 실소를 자아내는 대선 놀음 코미디가 있는 것도 민주주의의 양념으로 여기면 되겠지만, 어물전 망신 뭐가 시키는 것 같은 생각이 드는 것도 없지 않다. 독불장군이 없다는데 거의가 독불장군인 것이 또 공통된 특성이다. 아무튼 대선 예비후보가 많아 중앙선관위 업무만 더 바빠지게 됐다.

대선 예비후보 가운덴 내년 총선을 겨냥, 예비후보 입지를 전초전 삼는 사람이 없지 않을 것으로 보는 것이 중앙선관위의 관측이다. 그렇다 해도 이를 가려내기란 쉽지 않다. 어렵긴 해도 총선용 선거운동을 벌이는 것으로 현저한 사실이 확인되면 사전선거운동으로 제재를 가한다는 것이 중앙선관위 방침인 것 같다.

모든 제도에는 다 장단점이 있다. 대선 예비후보 제도 역시 마찬가지다. 대통령 선거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처음 도입된 예비후보 제도가 순기능 보단 역기능을 먼저 나타내고 있다. 이렇긴 해도 예비후보 제도는 괜찮다. 다만 이번 대선을 통해 드러난 예비후보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 보완하는 개선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