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농협 상임이사 선출 잡음 유감

광명농협이 상임이사 선출을 놓고 좀처럼 잡음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연봉이 1억원에 가깝다보니 탐이 나는 자리겠지만, 농협 특성상 상임이사 자리는 정말 중요하다.

광명농협 상임이사는 지난 2005년말 도입됐다. 당시 현 조합장의 지역선배인 A씨가 상임이사로 선출됐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2년5개월만에 그만뒀다. 이에 공고를 통해 상임이사를 공개로 모집한 후 농협중앙회 광명시지부장을 지낸 A씨를 현 조합장이 강력히 추천했지만 대의원들의 반발로 탈락했다.

A씨 탈락 이후 광명농협이 재공고를 통해 후보자를 모집한 결과 모두 5명이 지원했다.

그런데도 현 조합장이 또 다시 A씨를 재추천하면서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들의 자격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지난번 탈락한 A씨의 경우 이런 잡음 속에서 과연 조합원 및 대의원 등 농협조직을 제대로 장악할 수 있느냐 하는 의견이 비등하다. 정치인 B씨의 경우 본인은 초년시절 농협에 근무한 경험을 내세우지만 4선 시의원을 지냈고, 지난해 도의원선거에서 낙선한 전력을 보면 과연 중립적인 위치에서 농협을 이끌 수 있겠는가 하는 의견이 주류다. 현 농협지점장인 C씨는 현 조합장의 경력한 반대에 부딪혀 본선에 오르지도 못하고 중도에 사퇴했다.

상임이사는 농민들을 위한 자리다. “현 조합장의 독선을 막기 위해 노조가 생겼다. 현 조합장이 제대로 일을 한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노조를 해체할 수 있다”는 Y 노조위원장의 말처럼 이번 사태의 해결은 현 조합장에게 있다는 사실을 하루 빨리 인식하길 바랄뿐이다.

배 종 석 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