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자불우(仁者不憂), 지자불혹(知者不惑), 용자불구(勇者不懼)’는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말이다. 어진 이는 사리사욕이 없으므로 어떤 일이 일어나도 걱정함이 없고, 아는 게 많은 이는 도리에 밝아 시비의 판단이 명료하므로 당혹지 않으며, 용기가 있는 이는 의로써 일을 결행하므로 아무것도 겁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공자의 제자 자공이 한 말이다.
공자는 인·지·용 세 가지를 겸비하는 것을 군자로 쳤다. 그러면서 자신은 어느 한 가지도 이르지 못했음을 자책했다. 그런데 자공은 공자야말로 인·지·용을 겸비한 군자라고 평가했다.
뭣이 어질고, 얼마나 알아야 아는 게 많으며, 어떤 게 용기가 있는 것인 지는 예나 지금이나 확실하지 않다. 일목요연하게 도표로 그려낼 수가 있는 것도 아니다. 공자 역시 그 기준을 제시하진 못했다. 다만 기본적 소양으로 이런 말은 했다. ‘기소불욕(己所不慾)이면 물시어인(勿施於人)이다’라고 했다.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이라면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서 안된다는 것이다.
딴은 그렇다. 어진 사람 치고, 아는 게 많은 사람 치고, 용기있는 사람치고 자신이 싫어하는 것을 남에게 끼치는 것은 볼 수 없다. 그것은 불인(不仁), 부지(不知), 불용(不勇)이기 때문이다.
세상 살이가 점점 더 어려워져 간다. 군자는 고사하고 범부로도 불인·부지·불용하지 않으며 살기가 힘든다. 자신이 하기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는 것도 안되지만, 자신은 못하는 일을 남에게 시키는 것도 좋지 않다. 생각컨대 이 사회에서 과연 인자(仁者), 지자(知者), 용자(勇者)가 있느냐는 의문이 든다. 어질지 못하면서 어진 척, 아는 게 없으면서 아는 척, 용기가 미치지 못하면서 있는 척 하는 것은 가짜다.
먹거리에 가짜 원산지 표시가 판치고, 입성 등엔 가짜 명품이 숱하다. 마찬가지로 척하는 가짜 명품인생도 가짜다. ‘여기도 짜가 저기도 짜가’는 신신애의 ‘짜가인생’ 노랫말이다. 짜가인생, 즉 가짜인생이 ‘장삼이사’일 것 같으면 별로 해가 될 게 없다. 그러나 권력층이면 다르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