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성형수술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흰 비단 같은 유방이여 / (중략) 당신 때문에 장미는 수치를 느끼네” 16세기 프랑스 시인 클레망 마로가 쓴 ‘유방 찬가’의 일부다. 이렇듯 여성의 유방은 고대로부터 숭배와 예술의 대상이었다. 풍만한 가슴을 드러낸 고대의 조각상은 풍요를 기원하는 ‘신화’를 담고 있다. 인체의 과학적 구조가 밝혀진 현대 사회에서도 유방을 둘러싼 신화는 여전하다. 과거의 신화는 신비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현대는 ‘여성에게 유방은 얼굴과 마찬가지다’, ‘남자는 여자의 유방이 클수록 좋아한다’, ‘유방이 커야 모유가 많이 나온다’는 등 성적 의미를 주로 담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사실과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유기의 유방은 팽창하고 수유기가 지나면 납작하게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인간은 동물과 다르다. 여성의 유방은 수유기와 관계 없이 항상 둥글고 풍만하며 우뚝 솟아있다. 한 인류학자는 여성의 유방을 종족 보존 본능을 자극하는 ‘속임수’라고 정의했다. 남성들이 여성의 유방을 보면 성적인 자극을 받기 때문이란다.

유방은 모유를 분비하는 유선(乳腺)조직과 그 사이에 있는 지방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유방이 작은 사람도 유선이 발달해 있으면 아이에게 충분한 양의 젖을 줄 수 있다. 한국 여성은 서양 여성과 달리 유선 조직이 많은 ‘치밀 유방’을 갖고 있다. 날씬한 연예인이 풍만한 가슴을 자랑하며 ‘자연산이에요’라고 말할 경우 색안경을 쓰고 볼 일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여성의 유방은 중력의 법칙을 무시한 채 진화돼 왔다. 유방 정도의 무게라면 아래로 처져야 마땅하지만 처짐 방지 브래지어나 화장품 덕분에 늘 위로 솟아 있게 됐다. ‘욕망과 지혜의 문화사전 몸’의 저자인 샤오 춘레이는 이런 이유로 여성의 유방을 ‘문화적 산물’이라고 말했다. 4천300여 종의 포유동물 가운데 희귀한 예에 속한다.

풍만하고 위로 솟은 유방이 아름답다는 사회적 관념 때문에 대부분 여성들이 자신의 유방에 결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때문에 예쁜 유방을 만들려고 속옷을 사거나 가슴운동을 하고 심지어 유방확대 수술을 받는다. 유방은 새 생명을 키우는 젖줄이지만 자칫 잘못 관리하면 암세포의 둥지가 되기도 한다. 아름다움이 죽음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아름다운 유방뿐만 아니라 건강한 유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이유다./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