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 “일방적인 탁상행정” 반발

수원시, 공립 보육시설 교사 순환전보 추진

수원시가 경기도내에서 최초로 공립 보육시설 운영개선을 위해 어린이집 장기 근무 교사들을 대상으로 순환전보를 추진하자 교사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19일 수원시와 보육교사들에 따르면 수원시는 18개 시립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육교사 143명(시설장 포함, 시설당 7∼18명)이 영·유아 1천300여명(시설당 47∼138명)을 돌보고 있다.

시와의 위탁계약을 통해 운영되는 시립 어린이집은 시 예산이 지원돼 민간 어린이집보다 보육료가 싸고 자정까지 야간보육이 가능한데다 상당수는 보육 프로그램의 질도 높아 입소를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러한 가운데 시가 올해초 일부 어린이집 위탁운영계약 시점에 맞춰 ‘보육시설 종사자 관리계획’을 세워 5년 이상 근무 교사들에 대해 전보방침을 정하고 이달 중 시행을 추진하자 대부분의 교사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보육교사들은 “시의 추진배경은 어린이집의 재정여건에 따라 호봉이 높은 교사를 퇴출하겠다는 의도로, 장기근무 교사의 안정감과 경험을 무시한 탁상행정”이라며 “돈 문제로만 따진다면 호봉이 높은 교사가 오는 것을 어느 곳이나 싫어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보육교사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식 행정을 펼치면서 일부 원장들이 전보동의서를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교사전보 이외에 교사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 시설에 사무원을 배치하는 것도 포함돼 있다”며 “보육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것이지 장기근무 교사 방출을 염두에 두고 시행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dosi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