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1일 “한국은 지정학적으로나 여러 면에서 볼 때 지혜로운 외교를 하는 것이 중요하고 의견일치가 중요하다”며 “외교통상부 내부의 반미 분위기는 21세기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외교통상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이런 관점에서 외교부내에 ‘친미’다 ‘반미’다 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은 21세기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철저한 국익을 위주로 한 실용주의 외교로 가야 한다”면서 “친미도 친중도 없고 국익이 맞으면 동맹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국익이 서로 맞으면 서로 동맹이 될 수 있지만 국익에 위배되면 오늘 시대에 동맹이란 없다”며 “미국과 굳건한 동맹관계를 유지해야 하지만 미국과도 그렇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외교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외교부의 과거 업적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 만족하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불만이 좀 있다고 분명히 말한다”며 불신감을 표시했다.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우리가 북한과 대치해서 남북 간 화해에 손상이 간다든가 그러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고 어느 때보다 남북이 화해하고 화합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며 “진정 북한을 위하는 길인가. 북한이 자립할 때 남북통일도 앞당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해 언제든 마음의 문을 열고 남북에 진정한 도움이 되는 대화를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번 만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이나 미국, 중국 간에는 여러차례 만나면서 남북 간에 임기 중에 한번 만난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느 때든 자주 만나야 한다”며 “일본과 셔틀외교를 하는데 북한과 못할 것이 뭐가 있나”라고 반문했다.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 이 대통령은 “대북전략이 아니라 인류, 인간의 보편적 행복기준”이라며 “북한의 인권에 관심을 갖는 게 대북전략은 절대 아니라는 관점에서 외교부도 이해를 함께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외교부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국익위주의 실용외교를 강조하면서 과거 외교부의 행태를 강도높게 비판함으로써 새 정부 외교에는 일대 혁신이 예고된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