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化?

임병호 논설위원 bhlim@ekgib.com
기자페이지

티베트 유혈사태는 중국 정부의 티베트로의 한족 유입과 티베트인들에 대한 의식 변화 강요 정책 탓이다. 한족이 대거 유입되면서 일자리가 한족에게 더 많이 주어지고 있는 점도 원인 중 하나다.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중국이 티베트인들의 삶의 방식 자체를 바꾸려하고 있는 점도 티베트인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킨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출신으로 2005년 티베트 자치구 당 서기로 임명된 뒤 강경 노선을 취한 장칭리 당서기의 통치 방식이 이번 사태를 촉발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공산당은 티베트인들에게 부모와 같은 존재”라고 말하기도 한 장칭리는 ‘애국심 교육’ 등을 통해 중국 공산당을 미화시키는 데 앞장서 왔다. 티베트 정부 산하 공무원들에게 정기적으로 달라이 라마를 비난하는 글을 쓰라고 했으며 학생들이나 공무원들의 사원 방문이나 종교행사 참석을 불허했다. 미국 경제지 비지니스 위크는 티베트의 소요 사태가 낙후된 서부지역을 발전시키려는 중국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이 연안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낙후한 서부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서부 대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었지만 기대한 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것이다. 지난 3년 동안 중국 정부는 서부 지역의 12개 성에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해 400억달러를 투자했다. 서부지역 개발 이면엔 동부의 연안지역과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물론 소수민족들의 반발을 완화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중국 정부의 노력으로 서부지역은 지난해 14.5%의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이는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5분의 1도 채 되지 않는 수준이다. 서부 12개 성 중 9개 성이 경제규모가 가장 낮은 하위 10개 성에 여전히 이름을 대거 올리는 상태다. 중국 정부는 관영 언론에게만 티베트 수도 라싸 현지 취재를 허용하고 있다. 신화통신은 라싸 시내 대부분의 상점이 영업을 재개했으며 초등학교 및 중·고교 등 각급 학교들이 정상정으로 수업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티베트 망명 정부는 간쑤성 마취현에서 경찰의 발포로 시위대가 살해됐다고 주장했다. 티베트를 속국화하려는 중국의 속셈이 드러났지만 ‘공산당은 티베트인들에게 부모와 같은 존재’란 강요는 국제정세를 무시하는 오만이다. 티베트 사태는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로서 심히 부끄러운 일이다.

/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