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親朴 없다… 민생경제 올인”

■ 李 대통령 첫 기자회견

이명박 대통령이 13일 청와대에서 가진 ‘미국·일본 순방 대국민 기자회견’의 화두는 경제살리기와 민생 챙기기다.

대통령 취임후 처음으로 가진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선거 결과를 “좌고우면 하지 말고 국민통합과 타협의 정치를 펴면서 경제살리기와 민생챙기기에 매진하라는 준엄한 명령”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위해 “남보다 앞서 변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위로부터의 변화, 대통령 자신부터 앞장서 변화, 사회지도층의 변화를 하부 구조로 확산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급변하는 세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남보다 앞서 변화해야 하고 그 변화는 위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며 “대통령인 저부터 먼저 변화하겠다. 사회 지도층에서 시작된 변화가 물이 스며들듯 자연스럽게 아래로 확산돼야 진정한 개혁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친이’(친 이명박 대통령)·‘친박’(친 박근혜 전 대표) 논란을 일축하면서도 그는 “과거 친박이었든, 친이였든 간에 한나라당은 하나가 돼 국민이 기대하는 경제살리기를 이뤄내야 한다”고 말해 당내 모든 계보정치를 경제살리기에 담아 녹여 청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공공부문의 개혁을 우선적으로 제시했다. “공직사회의 비리는 처벌규정을 강화해서 더 엄격하게 다루겠다”며 “곳곳에 쌓인 먼지와 때를 씻어내어 사회 각 부분이 깨끗하고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자율적인 개혁을 통한 경영 선진화와 투자촉진,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제살리기와 민생을 위한 첫 행보로 5월 임시국회 소집을 거듭 제안했다. 경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선 법적인 뒷받침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법안과 공정거래법 개정안 등 기업규제완화 관련 법안, 어린이를 상대로 한 유괴나 성범죄를 막기 위한 미성년자 피해방지처벌법,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안전기본법, 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원평가제도의 법제화 등을 제시했다.

이같은 강조는 이른바 ‘일하는 정부,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정립해 나가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번 미·일 순방이 “실용외교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통적 우방국들과의 관계를 더 돈독하게 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방안에 대해 깊이있는 의견을 나눌 것”이라며 “의례적이고 형식적인 방문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남북관계와 관련, 이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남북관계는 다른 나라와 북한과의 관계라기 보다 남북간 특별한 관계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북한이 남쪽을 봉쇄하고 미국과 바로 통하겠다는 전략(통미봉남 전략)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으나 그것은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해 대북관계에서 주도권을 갖고 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나라 안팎으로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나는 가운데 남북관계도 지난 10년간의 기존 틀이 새로이 정립되는 조정 기간을 거치고 있다”면서 “최근에 있었던 북한의 도발적인 언동들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는 그러한 관점에서 원칙을 갖고 의연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6자회담을 통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다. 그것이 북한에 이로운 길이라는 것을 믿도록 설득하겠다”며 “이제는 북한도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나서는 한편,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 북한 핵 문제의 해결과 북한주민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면, 정부는 언제든지 대화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hikanf@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