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연대

제18대 국회 총선의 최대 오점은 비례대표 문제다. 통합민주당은 정국교 당선자의 주가조작 등 비리, 창조한국당은 학력 및 경력을 조작한 이한정 당선자, 친박연대는 양정례 당선자의 공천뇌물 등 혐의로 각각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이한정 당선자는 6억원, 정국교 당선자는 10억원, 양정례 당선자는 15억원을 주었다. 웃기는 것은 이들이 어떻게 해서 비례대표 후보, 그도 당선권에 올랐는지를 당내에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다. 통합민주당도 사정은 비슷하지만, 창조한국당은 심지어 문국현 대표 자신도 몰랐다니 거짓말이 아닐 것 같으면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친박연대에서는 총선이 끝난 직후에 “도대체 양정례가 누구냐?”는 당내 인사들의 의문이 쏟아졌을 정도다.

서청원 친박연대 대표는 처음엔 양정례 당선자를 가리켜 “불법이 없다”는 원론적 해명에 급급했다. 그러다가 궁지에 몰리자 특별당비를 받았다면서도 금액은 밝히기를 꺼려하며 숨기더니, 특별당비란 게 자그마치 15억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양정례 당선자를 국회의원감으로 볼 사람은 별로 있을 것 같지 않다. 15억원을 특별당비로 볼 사람 또한 별로 있을 것 같지 않다. 사회통념으로 보아 그렇다.

감도 아닌 사람에게 특별당비로 볼 수 없는 거금을 받고 비례대표, 그도 1번 자릴 주었으면 국회의원직을 사고 판 것으로 보는 객관적 생각이 든다.

서청원 대표의 다음 말이 또 궁색하다. “돈을 빌렸다”는 것이다. 중앙선관위에서 선거비 보전이 나오면 갚기로 하고 차용증을 써주고 빌렸다지만 아니다. 그까짓 차용증은 말썽이 되고나서 말 바꾸기 용으로 써줄 수가 있다. 증거능력이 있을 수 있다.

비례대표를 둔 추문이 친박연대만은 아니지만 가장 치명적인 것이 친박연대다. 그러잖아도 지역구의 김일윤 당선자(경북 경주)가 돈을 뿌린 혐의로 구속된 판에 양정례 파문이 겹쳐 세간의 입방아감이 되고 있다. 김일윤 당선자는 서둘러 제명했지만 원초적 죄업이 씻기는 것은 아니다.

친박연대가 이런 저런 ‘자승자박’으로 입지가 좁아져가고 있다. 민심으로부터 멀어져 간다. 친박연대의 길이 과연 박근혜 의원을 돕는 것인지 깊이 생각해 볼 일이다./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