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위기국면 돌파 이 대통령의 고심

이명박 대통령이 쇠고기 고시로 들끓고 있는 민심을 진정시키기 위해 장고에 들어갔다.

여권 안팎에선 여러 가지 국정 쇄신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3일 취임 100일에 맞춰 청와대 내부의 조직 개편이 예상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1일 르완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외에는 집무실에서 오후내내 각 수석비서관들을 개별적으로 불러 민심 동향과 향후 대책 등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대통령이 고심하고 있는 것은 국정 쇄신의 범위. 여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일부 장관 교체와 같은 인적 쇄신부터 국민과의 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청와대 내부 기능 보완까지 국정쇄신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에 따른 민심이반과 한미FTA(자유무역협정) 조기비준 실패, 고유가와 원자재값 급등 등에 따른 경제침체, 한반도 대운하와 공공기관 민영화를 포함한 주요 정책과제의 난기류 등 총체적 위기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의 지지도는 대선 득표율인 48.7%의 절반을 조금 넘는 20% 후반대로 급락하고, 여당인 한나라당의 지지 기반도 이완되는 조짐을 보이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아직까지 한나라당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쇄신안이 들어오지는 않았다”며 “2일 예정된 강재섭 대표와의 정례 회동에서 민심 수습책을 전달받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2일 오전 8시 청와대에서 강 대표와 이 대통령고의 회동이 있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현재로선 여당의 주장처럼 장관들을 바꾸는 식의 인적 쇄신보다는 청와대 조직 개편을 통해 내부 시스템을 정비하는 쪽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먼저 공석인 사회정책수석 자리를 메우고 홍보기획비서관을 대통령실장 직속으로 확대 개편하는 한편 정무 특보를 도입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또 민심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민정수석실을 홍보·정무·민정 라인을 개편하고 수석비서관급의 홍보특보직 등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인터넷 여론 파악과 시민단체와의 소통에 인력을 추가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특보에는 박형준 전 의원이 유력하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