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사태 대통령이 직접 수습”

야권은 2일 쇠고기 정국의 수습을 위해 이명박 대통령과 야3당 대표와의 정치회담을 빠른 시일내 개최할 것을 요구했다.

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등 야 3당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6인은 이날 국회에서 회담을 갖고 “현 시국은 총체적 비상시국으로서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 사태를 수습하고 결자해지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합의했다.

야권은 또 “이 대통령이 3일로 예정된 쇠고기 장관고시의 관보게재를 직접 중지시켜야 한다”면서 “내각 총사퇴와 어청수 경찰청장의 즉각 파면과 함께 폭력진압 관련 책임자를 처벌하고 강제 연행자 전원을 조속히 석방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민주당과 민노당은 3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장관고시에 대한 관보게재를 강행할 경우 오는 5일 예정된 18대 국회 개원을 거부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어 정치권에 파장이 일고 있다.

양당이 개원 거부 결정을 내릴 경우 이명박 대통령 연설이 예정된 개원식 뿐만 아니라 같은 날 진행되는 국회의장단 선출이 파행을 빚게 되고 국회 활동이 한동안 마비되는 등 이미 장외공방에 돌입한 정국이 돌파구를 찾지못한 채 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민주당 원혜영 원내대표는 2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야3당 6인회담에서 “쇠고기 재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국회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국회를 개원하지 않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쇠고기 재협상 여건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정부가 제 머리를 감지 못하는 게 문제”라며 “정부가 미국에 재협상 얘기를 꺼내기 어려우니 국회가 나서 재협상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명분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영 대변인은 논평에서 “대통령과 한나라당 대표의 회동에서 나온 결론은 친박 복당과 관보 게재를 강행하겠다는 것뿐”이라며 “친박 세력이 정권의 구세주이고, 이것이 국면전환·국정쇄신이냐”고 비판했다.

민노당 박승흡 대변인도 “관보게재 시한이 다가오고 있지만 우리의 요구가 반영된 것은 하나도 없다”며 “18대 개원도 중요하지만 정부가 쇠고기 문제를 밀어붙인다면 개원의 의미가 없다”고 거부 의사를 밝혔다.

반면 자유선진당은 “정부의 태도를 더 지켜본 뒤 대처하겠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국회법상 상임위원장 배분 등 원 구성은 오는 7일까지 마쳐야 하지만 민주당이 개원 거부입장을 벌일 경우 원내협상을 벌일 수 없는 입장이어서 18대 국회 초반부터 험로가 예상된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