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간이심’(厠間二心)

이명박 정부가 방송장악을 기도한다고 한다. 야권의 주장이다. 며칠 전 구본흥 YTN 사장을 뽑는 주총에서는 우리사주 등 소액 주주의 출입이 봉쇄당했다. 구본흥씨는 이명박 후보 당시의 특보 출신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엔 벌써 최시중씨가 들어 앉았다. 최씨는 이 대통령의 실형인 이상득 의원의 친구로 대통령의 측근 중 측근이다.

최 방통위 위원장에 이어진 구 YTN 사장 선임을 두고 이젠 더 심한“방송 장악 노골화”란 말이 나온다. 이런 판에 “KBS 사장은 새 정부 국정 철학을 구현해야 한다”고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이 말해 논란을 부채질했다.

방송보도가 많이 왜곡되고 있는 것은 맞다. 예컨대 문제의 PD수첩은 광우병을 사실 개념으로 전제해 놓고 만든 의도된 프로그램이다. 소가 주저앉는 똑같은 장면을 되풀이 하는 간헐적 재생은 시청자를 세뇌시키는 수법이다. 이런 예는 폭력시위 보도 화면에서도 나타나곤 했다. 폭력시위대가 전경을 폭행하고 버스 등을 부수는 그림은 단발성으로 비춘데 비해 시위대가 맞는 화면은 연속 반복으로 내보내곤 했다.

그러나 이 정부가 자기네 사람들로 방송사 사장을 물갈이 해서 편파방송을 시정한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민주당도 집권했을 당시엔 역시 방송사 사장들을 자기네 사람들로 앉혔다. 청와대가 빗대에 밝힌 정연주 KBS 사장도 그런 사람이다. 구 집권세력이 신 집권세력의 방송장악 시도를 비난하는 것은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는 꼴이다.

하지만 박 수석의 발언은 적절치 않다. 공영방송이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홍보하는 기관은 아니다. 개탄스런 것은 하는 말들이 모두 ‘측간이심’(厠間二心)으로 권력을 잡았을 때와 놨을 때, 권력을 잡으려고 했을 때와 잡았을 때의 말들이 다른 점이다.

현 집권세력은 과거는 낙하산 부대를 동원했을지라도, 자신들은 그렇지 않으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 개혁이다. 공기업은 정권의 전리품이 아니다. 마땅히 낙하산 부대가 아닌 자체 내부에서 사장들이 자력 선출돼야 하는 것이다.

/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