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인천의 교육행복지수가 낙제수준을 면치 못했다.
전국 평균지수가 50.4점으로 F학점 수준인데다 도와 인천의 경우 이 중에서도 최하위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비영리 민간교육단체인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KACE. 회장 주성민)가 패널인사이트에 의뢰해 전국의 초·중·고생 학부모 5천217명(특목고 학부모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부모들이 평가한 ‘교육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50.4점에 그쳤다.
16개 광역시도 중 제주도(53점)와 대전시(52점)가 각각 1, 2위를 차지한데 반해 도와 인천시는 각각 49.8점과 49.4점을 얻어 12위와 14위에 머물렀다.
게다가 평균 54.5점인 교육환경 만족도 또한 도와 인천은 각각 11위와 14위에 그쳤을 뿐 아니라 특히 교육정책 만족도의 경우 각각 16위와 12위로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했다.
98개 전국 시군별 교육 행복지수는 과천시와 인천연수구가 각각 3위와 12위로 최상위권을 기록했으나 시흥시와 인천서구는 각각 89위와 97위로 바닥권으로 밀려났다.
‘교육행복지수’는 평생교육, 사교육, 교육환경, 학교교육, 교육정책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를 수치화한 뒤 가중 평균한 것으로 5개 항목별 만족도는 평생교육 62.4점, 사교육 55.3, 교육환경 54.5, 학교교육 52.6, 교육정책 39.7점 등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사교육비 규모는 가구당 월평균 74만원, 자녀 1인당 45만원으로 가구총지출비용대비 26%를 차지했고 특목고생 학부모들의 경우 가구당 월평균 128만원, 자녀 1인당 75만원을 사교육비로 쓴다고 답해 가구총지출비용 대비 비중은 33%에 달했다.
KACE측은 “교육행복지수가 50.4점이라는 것은 국민이 교육 전반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우리 교육행복지수는 10년전 공기업만족지수보다 낮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동수기자 ds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