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 특별수당’ 지역쏠림 우려

농어촌지역 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올해 보건복지가족부가 신설한 ‘농어촌지역 보육교사 특별 근무수당’이 오히려 보육교사의 지역쏠림현상을 부추길 우려를 낳고 있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복지부는 올해부터 ‘농어촌지역 보육교사 특별 근무수당’을 새롭게 신설, 농어촌 지역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매달 11만원의 수당을 지급한다.

복지부가 규정한 농어촌 지역은 도서·벽지지역 또는 행정구역상 읍·면 지역이면서 주거지역·상업지역·공업지역 등에서 제외된 곳이 해당된다.

경기도의 경우 화성·파주·남양주·포천·안성·용인 등 도·농복합지역이 대부분 포함되나 시·군별로 제한규정에 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곳도 있다.

이에 따라 도내 3만2천여명의 보육교사 중 약 20%에 해당하는 6천414명이 특별 근무수당을 받게 됐다.

이런 가운데 도내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특별수당이 지급되는 곳과 길 하나, 다리 하나를 사이에 둔 인근 비혜택 지역 간의 교사들 선호도가 크게 차이 나면서 지역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파주시 금촌동의 경우 주변 탄현·월롱면 등이 혜택을 받는 반면 금촌동은 비혜택지역으로 구분돼 보육교사들이 혜택지역 근무를 선호하면서 교사 구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상황은 도내 대부분의 도·농복합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대책이 시급하다.

한 보육시설 원장은 경기도 게시판을 통해 “금촌동은 말이 동이지 읍·면과 다를 바 없는 곳이라 교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특별수당마저 적용이 안되면 누가 이곳에서 일을 하겠느냐”며 “벌써부터 교사들이 ‘수당이 지급되는 곳으로 옮기겠다’는 이야기를 한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예산이 충분하지 못해 우선 농·어촌지역 교사들부터 실시하게 됐다”며 “추후 중소도시로도 제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용진기자 comnet71@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