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前대통령 뜻 받들어… 노여움·원망·불신 접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3일째. 봉화마을은 ‘아무도 원망하지 마라’는 노 전 대통령 유서처럼 초기의 극한적 대립에서 벗어나 서서히 안정을 되찾으며 ‘이제 모두 힘을 합쳐 참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잇따르는 등 화합의 장으로 변해가고 있다. ★관련기사 2·4·8면
노 전 대통령 서거 3일째인 25일 봉하마을 입구부터 빈소까지 1㎞구간은 추모객들이 가드레일에 꽂아놓은 국화꽃에서 풍기는 국화향을 비롯해 검은색 계통으로 옷을 차려입은 추모행렬,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슬퍼하며 눈물짓는 사람들 등 삼일전의 모습 그대로였다.
하지만 빈소로 들어서자 수만명의 추모객들과 마을주민, 그리고 노사모 회원들의 표정이 초기와 달리 크게 바뀌어 있었다. 초기의 원망과 불만, 불신이 가득했던 눈빛 보다는 모든 것을 수용하는 듯 차분하고 평온했다.
5살 어린아이부터 70대 노인들까지 서울,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조문객들도 노 전 대통령의 정치이념인 지역주의 타파와 참 민주주의를 되새기며 노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모습이었다.
화합 분위기는 봉하마을 주민들로부터 시작됐다. 술에 의존하며 노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고간 이들에 대한 노여움에 불탔던 주민들은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가는 길을 잘 보살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일사분란하게 추모객을 맞았다.
마을주민들은 진영농협 고향주부모임, 대한적십자사 경남지회, 진영새마을회 등과 의기투합, 추모객들에게 컵라면을 대접하기 시작하는 등 원망과 한탄보다는 묵묵히 추모객 맞이에 여념이 없었다.
음식을 준비하던 주민 김순례씨(42)는 “누가 노 전 대통령을 죽였고 또 누가 노 전 대통령 편이다 등은 이제 다 필요없다”면서 “이제는 모두 힘을 합쳐 노 전 대통령의 뜻에 따라야 한다. 여기 오는 사람들이 다 손님인데 잘 먹여 보내야 도리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같은 마을주민들의 마음이 통한 듯 노사모 회원들도 적대적인 분위기에서 다소 진정돼 모든 언론을 통제하겠다던 전날 공표와 달리 수백여명에 이르는 취재진에게 일제히 비표를 나눠주며 취재에 협조하기 시작했다.
유시민 전 장관이 전날 “조문 오는 사람을 막는 법은 없다”며 눈물로 호소한 것이 공감을 얻었던 것. 하지만 가족들과 측근은 물론 노사모가 공식적으로 조문을 막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지금까지 일부 지지자들의 돌발 행동 가능성은 남아있다.
노사모 한 회원은 “한나라당 의원, 보수 언론 등에 대한 적개심은 노 전 대통령을 너무 많이 사랑한데 따른 후유증 정도로 생각해 줬으면 한다”며 “이들 모두 노 전 대통령의 유서처럼 화합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봉하마을=박수철·장충식·박민수기자 scp@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