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일어난 ‘철도 대란’은 우발적 단순사고가 원인이었다. 이날 오전 8시16분께다. 서울 충정로3가 재건축아파트 현장 타워 크레인이 300㎏ 가량의 자재를 옮기던 중 오른쪽 지반이 내려 앉아 크레인이 철길을 덮치면서 선로의 공급 전선이 끊겼다. 크레인 기사는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졌다.
이 바람에 경부고속열차·새마을호·무궁화호 등 경부·호남·경의선을 비롯한 전철 등 100여편의 열차 운행이 막히는 등 장애를 받았다. 열차 지연으로 피해를 입은 교통 인구가 약 1백만명으로 추산된다. 수원역 등 도내 역에서도 항의, 환불 요청 등 승객들의 비난이 빗발쳤다. 승객들 가운덴 예정된 시간을 못지켜 손해를 본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크레인 사고의 안전 결함 여부다. 아무래도 불가항력의 사고라고 볼 수 없는 인재다. 크레인이 잘못됐거나 아니면 현장의 안전 관리에 잘못이 있었는지에 대한 조사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시설 복구의 늑장이다. 이날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더욱 분통을 터뜨린 것은 언제 차가 올지 모르는 예측 불허의 상태가 장시간 지속됐기 때문이다. 심지어 경의선은 사고 이튿날 아침 5시10분께 비로소 복구되어 소통이 될 수 있었다.
네트워크가 발전한 사회일수록 사소한 사고가 사회에 치명적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건 틀린 말이 아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발전하면 그 같은 위험의 개연성이 많을수록 안전 및 복구대책 또한 강구돼야 한다. 이번 사고의 복구 늑장은 평소 그 같은 대책에 소홀했거나 무대책이었음을 드러낸 것이다.
우발적 단순 사고가 이토록 열차 소통에 치명상을 입혔다면, 고의적 계획 사고가 자행될 경우의 피해를 상상하면 모골이 송연해진다. 고의적 계획 사고는 국가 안보 관계상 있을 수 있고, 사회 교란을 위한 불량 세력이 자행할 수도 있다. 철도 관계 당국의 좀 더 긴장된 대비 태세가 있어야 하겠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