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前 대통령, 인천항과 ‘각별한 인연’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인천항과도 인연이 각별했다.

재임시절 항만물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중심에 인천항이 있음을 부인하지 않았다.

김 전 대통령은 재임시절인 지난 2002년 인천항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해 인천항만공사(IPA) 설립을 이끌었다.

또 국가·지방자치단체·항만이용자가 공동으로 항만운영 정책결정에 참여토록 하는 내용의 항만공사법을 제정했다.

이에 앞서 2001년엔 국무회의 주재한 자리에서 “육·해·공 복합운송망 구축이 가능한 인천을 동북아 물류기지로 개발해야 한다”며 “인천항을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하라”고 지시, 인천항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천항 관세자유지역 지정은 향후 인천항이 동북아 허브항으로 발돋움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됐다.

무엇보다 김 전 대통령과 인천항의 관계는 지난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이후 시작된 남북간 경제협력을 시작으로 본격화됐다.

정부는 정상회담 후 비료 30만t과 쌀 30만t, 옥수수 20만t을 인천항을 통해 북한에 지원했고,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물품도 2007년 1월 인천항을 통해 첫 수출길에 올랐다.

특히 6·15회담에서 체결된 남북해운협정에 따라 인천항~북한 남포항간 정기 화물선이 운항, 지난 2007년 1천523만3천여t, 지난해 1천196만여t의 남북간 교역량을 기록했다.

인천항을 통한 북한산 모래반입량도 2006년 995만t에서 2007년 1천506만t으로 급증했으며 지난해에 1천170만t으로 집계됐다.

김종태 IPA사장은 “김 전 대통령과 인천항과의 관계는 각별했다”며 “특히 6·15공동선언 이후 북측과의 교역에 인천항의 중요성이 급부상하며 항만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배인성기자 isb@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