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안 부러운’ 新시가지로 화려한 부활

경기도 평면도가 바뀐다 17  성남 구시가지 정비

성남 구시가지가 주택공사의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수정·중원구 일원의 1천378㏊(420만평)가 ‘성남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구역’에 편입되면서 지난 2006년부터 1, 2단계에 이어 3단계로 각각 구분돼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주택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면적은 약 304㏊(92만평), 건립 가구수는 약 6만가구에 이르며 사업지구만도 26개지구에 이르는 수도권내 최대 규모의 방대한 도시재생사업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성남 구도시권은 분당 신도시와 함께 쾌적한 주거환경 단지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공사 성남도시재생사업단 관계자는 “겨울철 눈만 내리면 통행은 물론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거미줄 같은 복잡한 도시모습이 정리된 구획도시로 변화, 주민 생활여건이 한층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구시가지 정비사업 현황

성남 구시가지 정비사업은 서울 청계천 철거민들의 이주정착지로 시작돼 가옥주 대부분의 대지 지분이 협소하고 주거환경 및 도시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한데 따라 입안됐다.

이후 71년 도시계획구역(54.55㎢)이 결정되면서 성남시의 도시계획이 시작됐으나 2년 뒤인 73년 시로 승격된 성남시는 뚜렷한 도시계획 없이 인구가 늘고 주거지역이 확대되면서 전반적 도시 문제를 안게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다 80년대 말 건설된 분당신도시는 신·구도시의 심한 격차를 불러오면서 주민 갈등을 일으켰고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성남시는 99년부터 구시가지의 도시정비(재개발)사업에 관심을 갖고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20개구역을 대상으로 하는 이 계획은 2001년 건교부 승인을 받은데 이어 새롭게 지정된 관련법에 따라 지난 2006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이 수립돼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도시재생사업이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2001년과 2002년에는 판교와 도촌지구가, 2006년에는 여수지구가 각각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돼 순환이주용 주택마련이 순로롭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다.

성남 구시가지 정비사업은 6개 주거환경 개선사업, 15개 주택재개발사업, 3개 주택재건축사업, 2개 도시환경정비사업 등으로 각각 구분돼 진행되고 있다. 사업완료는 오는 2020년 예정이다.

기본 청사진에 따르면 도시 재정비는 모두 3단계로 조성된다.

1단계(2002-2010년)의 경우 주거환경지구로 은행 2구역과 재개발의 중동3·단대구역 등으로 구분, 진행되고 있으며 2단계(2006~2010년)는 주거환경개선 2개 지구(태평2구역·4구역), 주택재개발 5개 지구(신흥2구역·수진2구역·금광1구역·상대원3구역·중동1), 주택재건축 3개 지구(건우·신흥주공·한보미도), 도시환경정비 1개 지구(도환중1구역) 등으로 나눠진다.

3단계(2010년 이후)는 주거환경지구로 중동2·은행1·태평1구역이 있고 재개발지구로 중동4·금광2·산성·신흥1·신흥3·태평3·수진1·상대원2 구역 등이, 도시환경지구로 도환중2구역 등이 있다.

주공과 성남시는 정비사업이 완료되는 2020년에는 주택 및 인구과밀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4년 8만7192가구, 23만8738명 수준을 6만990가구, 16만3027명으로 각각 26%, 75.7% 가량 낮춰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3단계 사업까지 투자되는 사업비는 공공 8천81억원, 민간 6조4천722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순환정비사업의 장점

주택공사가 성남시와 손잡고 성남 도시재생사업을 시작한 것은 지난 2000년 1월 ‘성남 구시가지 순환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성남시와공동시행합의서’를 체결하면서 부터다.

총 3단계 구분, 진행돼 오고 있는 사업은 그 추진방식으로 주택공사가 도입한 순환정비방식을 눈여겨 볼 만하다.

실제, 가옥주의 2.5배에 달하는 세입자 거주로 일반적인 재개발사업 추진시 인근지역 전세가격 급등은 물론 세입자 주거불안 등 다양한 사회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판단아래 이같은 방식을 선택하게 됐다.

사업 또한 당초 의도한데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어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주공 도시재생사업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순환정비사업 방식은 사업지구 인근에 이주용 주택을 확보, 도시정비사업으로 거주공간을 상실하는 원주민을 이주시킨 후 사업이 완료되면 현지에 재정착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사업이다.

이럴 경우 대규모 이주에 따른 전세수요 전세가격 급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입자 주거안정에 따른 갈등 최소화, 원만한 사업추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원주민들의 생활공동체 유지가 가능하고 재정착률 제공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택공사는 이를 위해 1단계 중동3·단대구역 사업을 위해 성남 도촌(국민인대 997가구, 분양 1천265가구)를 지난 2007년도에 공급, 지난해초 이주를 완료시킨데 이어 2단계 구역 이주자 수용 방편으로 성남 판교에 국민인대 4천993가구를 지난해 공급한바 있다.

더블어 2단계 잔여구역(수진2·상대원 3)을 위해 성남 여수지구에 국민임대 1천922가구를 내년중 공급, 늦어도 오는 2011년까지 이주 완료시킨다는 방침이다.

성남도시재생사업단 관계자는 “성남 구시가지 정비사업은 가옥의 대부분이 협소할 뿐 아니라 주거환경 및 도시기반시설이 지극히 열악하고 특히 세입자가 많은 점에 착안, 순환정비사업으로 추진하게 됐다”며 “순환 이주자용 주택단지 건립이 이뤄지면 광역적 재정비 사업이 전략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기반시설 확충, 체계적인 개발, 전략 및 지침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수기자 ds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