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재개발 갈등 ‘새국면’

市, 실무협의회 통해 개발시기·방향 결정 범대위, 구성원 선정에 이견… 마찰 예고

인천 내항 재개발을 둘러싼 새로운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시는 최근 내항 재개발 사업과 관련해 ‘1·8부두 주상복합시설 반대’, ‘국·시비를 투입해 친수공간 조성’등을 확정했다. 내항 개발을 반대해 온 항만업계의 손을 들어주며 지역사회와의 갈등이 일단락되는 듯 했다. 하지만 내항의 용도지정을 비롯해 개발시기 및 방향 등이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으며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다.

 

▲인천시와 항만업계의 대립

시는 ‘2025 도시기본계획안’을 수립하며 공업지역으로 지정된 인천내항 1·8·6·7부두(72만㎡)를 상업지역(48만㎡)과 주거지역(24만㎡)으로 용도변경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에 항만업계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단체는 즉각 ‘시민친화적 내항 활용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를 구성하고 시의 정책에 정면으로 맞섰다.

 

범대위는 시의 계획대로 내항이 개발될 경우 사실상 인천항 전체 기능이 마비될 것을 우려하며 ‘주거 및 상업시설을 제외한 친수공간으로 2015년 이후 개발’ 및 ‘2025 도시기본계획 철회’ 등을 주장했다.

결국 시가 범대위의 주장을 일정 부분 수용하며 내항 개발은 새국면을 맞게 됐다.

 

▲새로운 갈등의 시작

시는 지난 4일 범대위 측에 보낸 공식 문서를 통해 “개발시기 및 방향에 대해선 국토해양부 계획에 따라 반영하겠다”며 “각계각층의 시민들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를 구성, 결정된 내용을 국토부에 적극 건의할 것”을 약속했다.

 

향후 실무협의회의 협의 결과에 따라 개발 시기 및 방향 등을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결국 협의회 구성원 선정이 내항 개발 열쇠를 쥔 핵심 사안으로 떠오르며 새로운 갈등이 시작되고 있다.

 

범대위는 시민단체를 포함한 항만업체, 경제단체 등 지역경제를 대표하는 각계 단체가 실무협의회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인천항 관련업체 및 단체, 주민 참여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인천항 주변 주민들로 구성된 ‘내항살리기대책위원회’의 경우 내항 개발을 서두르자는 입장이어서 자칫 항만업계와 주민 간의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범대위 관계자는 “협의회 구성은 그동안 (범대위가) 주장해 온 사안으로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합의된 의견을 도출,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내항 개발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협의회 구성에 앞서 오는 26일 개최되는 주민공청회를 통해 내항을 공원과 공공시설이 들어서는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합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