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韓~中 ‘컨’ 신규선박 억제

정부, 중국과 해운회담

인천항 등 국내항과 중국 무역항 등을 오가는 한·중 간 컨테이너 및 카페리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의 추가 도입이 제한된다.

 

국토해양부와 중국 교통운수부는 지난 4일 중국 쿤밍(昆明)에서 ‘제17차 한중 해운회담’을 열고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양국정부의 해운위기 조기극복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양국은 해운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내년에 한중항로에 신규 컨테이너선박 투입을 자제하는 등 안정적인 항만운영에 노력기로 했다.

 

해운업계 위기극복을 위해 올해 시행한 한중항로 선박추가 억제 정책이 해운업체 안정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한중 컨테이너 정기항로에 취항한 총 29개사에서 운항 중인 63척(국적선사 23척, 중국선사 27척, 제3국적선사 5척, 한중화객선사 9척)이 내년에도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양국은 또 카페리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의 안전관리를 위해 건조된 지 20년이 초과된 선박에 대해 공동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관련업체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지도감독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회담을 통해 중국 교통운수부가 제기한 컨테이너 투입선복(화물적재량)의 불균형 문제에 대해선 양국 정부가 이를 확인하고 선복 불균형 상황이 확실히 존재한다면 민간협의체를 통해 조정해 나가기로 했다.

 

또 국토부는 중국 측에 한중항로 운항선박이 입출항 전에 적하목록(적재된 화물 목록)을 관세당국에 신고토록 관련규정을 개선할 것과 함께 상하이항 수출화물 통관절차를 완화해 줄 것을 요구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동안 우리선사들이 중국 항만 내에서 영업활동을 하며 느꼈던 애로사항에 대해 중국 측과 협의했다”며 “중국 내항 간 공컨테이너 운송규제 완화, 상해항 수출화물 통관절차 개선 등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배인성기자 isb@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